전체기사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中 주식형 펀드 수익률 '빨간불 '…최근 일주일새 -3.71% 손실

URL복사

자금 3~6개월 사이 1000억원 유입되던 자금도 1~3개월 새 700억원 유출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중국 주식형 펀드 수익률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플러스이던 수익률이 한 달 새 마이너스 전환됐다. 최근엔 중국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마이너스 폭이 더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2일 펀드평가사 한국펀드평가 펀드스퀘어에 따르면 1일 기준 국내 중국 주식형 펀드의 1주일 수익률은 -3.71%다.

국내에는 현재 총 145개의 중국 주식형 펀드가 있다.

이들 중국 주식형 펀드는 얼마 전만 해도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내고 있었다.

1일 기준으로 3개월 전만해도 수익률이 6.23%에 달했다. 하지만 한 달 전 5.7%포인트 하락한 -0.53%로 마이너스 전환되더니 최근 며칠 새 손실 폭이 확대됐다.

이처럼 갑작스럽게 수익률의 마이너스 전환은 중국 상하이증시의 변동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일 전 거래일 보다 10.91포인트(0.32%) 오른 3456.31로 장을 마감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달 24일 종가 기준 3616.11이던 지수는 27일에는 전일보다 5.48% 내린 3436.30으로 마무리 됐다.

24일부터 이달 1일까지 4.42%가 하락한 상태다.

중국 펀드 수익률 급락에 따라 몇 달 전 유입 흐름을 보이던 자금이 다시 빠져나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6개월 전 1334억원 순유출이던 것이 3개월 전 그 규모가 120억원으로 줄어 3~6개월 사이 10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다 한 달간 813억원의 자금이 빠져나가며 1~3개월 사이 약 700억원 자금 유출이 발생, 최근 투자심리 위축을 반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