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백화점, 10월 매출 전년比 11.4%↑...코리아 '블프' 덕분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지난달 백화점 매출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비롯한 잇딴 할인행사로 전년 대비 두자릿수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남성의류 매출이 10% 이상 급증하며 1년11개월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백화점 10월 매출은 전년 같은 달보다 11.4% 상승하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두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백화점이 지난달 잇달아 개최한 대형 할인행사로 의류, 가전, 잡화 등 비식품부문의 매출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특히 남성의류 매출이 13.8% 성장하며 여성의류 매출 성장률(5.2%)를 압도했다. 남성의류 매출은 지난 2013년 11월(0.2%) 이래 처음으로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형 할인행사가 잇따르면서 가격이 낮아지자 그동안의 소비가 부진했던 남성의류쪽의 대기수요가 지난달 일시에 몰린 것 같다"고 말했다.

담배값 인상의 수혜를 입은 편의점 매출도 독자개방상품(PB상품) 판매증가, 점포수 증가 등의 효과가 더해지며 지난달 35.1% 성장했다. 담배 등 기타 매출은 66.1%로 고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 등은 대형 할인행사에도 추석 이후 수요 감소와 오픈 마켓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판매 부진을 이어가며 각각 0.5%, 22.8%씩 하락했다.

대형마트의 경우 할인행사 덕택에 가전제품 및 의류 매출은 각각 4.6%, 2.6%씩 성장했고, 예년보다 추석 이후 매출 하락세가 둔화됐음에도 온라인 쇼핑몰과 경쟁이 격화되면서 매출이 줄었다.

특히 최근 온라인에서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는 기저귀, 화장지, 세제 등 가정생활용품의 매출이 전년 같은 달보다 3.3%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부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하이마트, 전자랜드 등 전자제품 전문몰과 온라인 쇼핑 업체의 매출까지 감안하면 코리안 블랙프라이데이로 유통업체 매출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