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증권사 3분기 실적 반토막 '어닝쇼크' 수준…거래대금 급감 영향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올해 1분기와 2분기 최대 호황을 누린 국내 증권사들이 올해 3분기에는 수익이 반토막 수준으로 급감하고 있다.

지난 3일 삼성증권은 올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59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분기(1742억원)에 비해 65.7% 감소한 것이다.

KDB대우증권은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817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분기(1536억원)에 비해 46.8% 급감한 것이다.

이는 두 회사에 대한 시장 컨센서스(예상치)인 1000억원을 크게 밑도는 '어닝쇼크' 수준으로 평가된다.

미래에셋증권도 3분기 영업이익이 238억원으로 지난 2분기(641억원)에 비해 62.9% 줄었다.

이처럼 증권사들의 3분기 수익이 급감한 것은 주식거래가 위축되면서 거래대금이 급감한 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3분기 국내 주식시장 거래대금 총액은 599조8271억원으로 2분기 639조1740억원에 비해 6.1% 감소했다.

또한 홍콩 항셍지수가 급락하면서 항셍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지수형 ELS 상품운용부문 손실이 커졌고, 채권 금리도 오르면서 채권 평가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직 실적을 발표하지 않은 증권사들의 3분기 실적도 '어닝쇼크'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 6곳(한국·NH·현대·메리츠·키움·대신)에 대한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862억원으로 지난 2분기 6681억원에 비해 43%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금융지주(한국투자증권)가 전분기에 비해 40.4% 감소한 1046억원, NH투자증권이 19% 감소한 851억원, 메리츠종금증권이 42.4% 감소한 81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현대증권이 42% 감소한 541억원을, 키움증권은 50% 줄어든 421억원, 대신증권은 71% 줄어든 19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DB대우증권 정길원 연구원은 "주요 증권사들의 3분기 실적은 브로커리지 수익 감소와 상품이익 감소로 2분기 대비 35% 내외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4분기 실적은 3분기보다는 회복될 것"이라며 "상품이익이 3분기보다는 좋을 것으로 보이고 글로벌 금융시장이 다소 안정을 찾으면서 파생상품 손실 중 일부가 환입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