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신격호 총괄회장, 전립선 비대증으로 오전 서울대 병원 입원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2일 서울대학교 병원에 입원했다.

SDJ 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이날 오후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신 회장이 고령이기 때문에 어르신들에게 나타나는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감염문제로 이날 오전 11시에 서울대 병원 특실 병동에 입원했다"며 "향후 어떤 치료를 받을 지 얼마나 입원하게 될 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병원 관계자는 "고령이기 때문에 전립선 비대증 관련 감염이 있다"며 "그런 증상으로 인해 신 총괄회장이 입원했다. 몸이 안좋으면 입원하게 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롯데그룹 관계자는 "호텔롯데 34층 신 총괄회장 집무실은 SDJ 코퍼레이션 측에서 관리중이기 때문에 입원 사실에 대해 알지 못했다"며 "현재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 총괄회장은 만 94세의 고령이다. 신 총괄회장은 2012년까지만 해도 한국과 일본을 오가는 '셔틀 경영'을 할 정도로 건강했다. 그러나 2013년 고관절 수술을 받게 되면서 건강이 악화했다.

그는 2013년 12월 집무실이자 거처인 롯데호텔 34층에서 넘어져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에서 고관절 수술을 받았다. 수술 이후에는 거동이 불편해져 대부분 휠체어에 의지해왔다.

신 총괄회장의 건강관리는 그동안 비서실이 맡아왔고 개인신상이기 때문에 비공개가 원칙이라는 게 롯데그룹 고위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그동안 대부분 주치의가 34층을 방문해왔고 병원을 직접 찾았던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