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 증시의 움직임이 우리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기획재정부는 25일 주형환 1차관 주재로 중국 경제의 변화 예측과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한 전문가 그룹회의를 열어 최근 중국 증시 급락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대 정영록 교수, 서강대 김시중 교수, 성균관대 이희옥 교수, 숭실대 구기보 교수, 한국개발연구원(KDI) 강동수·김주훈 박사, 금융연구원 지만수 박사, 산업연구원 정은미 박사, 한국은행 이동현 차장 등 경제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가 여전히 6~7% 수준의 성장이 가능하며, 최근 증시 급락은 그간 과도하게 상승한 데 따른 조정국면으로 판단했다.
또 중국의 경우 주식 자산 비중이 낮아 증시 하락에도 자산 효과가 크지 않고 소비 등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실물경제 변동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만 최근 중국 증시의 움직임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중장기 성장전략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수출·투자 주도의 고도성장을 내수·소비 주도의 안정성장으로 전환하는 성장전략에 성공할 경우 중진국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상당기간 중고속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기재부는 중국 경제 불안이 세계 경제의 최대 리스크로 부각됨에 따라 향후 학계와 민간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가운데 중국 경제에 대한 심층 검토 작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기재부는 8~9월 중 전문가그룹 회의를 4~5차례 열어 경제·정치·사회 등 전반에 걸쳐 중국의 성장전략과 구조변화를 점검·예측할 예정이다.
또 중국의 경제의 변화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논의 결과를 토대로 중장기적 시계에서 종합적인 경제 전략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