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1.7℃
  • 구름조금서울 13.7℃
  • 구름많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4.7℃
  • 구름조금울산 14.4℃
  • 구름많음광주 15.7℃
  • 맑음부산 15.7℃
  • 구름많음고창 11.4℃
  • 흐림제주 18.0℃
  • 구름많음강화 14.4℃
  • 구름많음보은 10.3℃
  • 구름조금금산 9.8℃
  • 구름많음강진군 12.9℃
  • 구름많음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경제

쌍용차, 6번째 '아름다운 음악회' 개최

URL복사
쌍용자동차는 지방 고객들의 문화공연 갈증 해소를 위해 업계 유일의 지방순회 공연 프로그램인 '제6회 아름다운 음악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행사는 24일 부산 KBS홀에서 부산∙경남지역 영업소 우수고객 약 3천 여명을 초청된다. 2002년 제1회 공연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약 2만 여명의 고객들이 관람한 쌍용자동차 문화마케팅의 대표적인 활동이다. 쌍용차는 "문화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지방 도시를 순회하며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공연을 기획하여 고객들의 문화 갈증 해소와 친근한 기업 이미지 형성에 그 의미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1부와 2부로 나눠 120분간 진행된다. 1부에는 서울 오라토리오의 합창과 솔리스트 공연이, 2부에는 가수 ‘이현우’ ‘이은미’의‘열정과 낭만의 가을콘서트’가 펼쳐진다.
한편 본 공연에서 쌍용자동차는 무료 음료 제공부스를 마련하여 초청 고객들에게 음료를 제공하고 홍보부스를 통해 티켓 교환 및 좌석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공연장에서는 렉스턴Ⅱ EURO 와 뉴카이런 차량 전시도 함께 진행된다.
쌍용자동차 위치웅껀 영업지원담당 상무는“고객 만족과 이웃 사랑 실천을 위해‘문화’와‘봉사’를 키워드로 한 이벤트를 통해 다양한 고객들과 직접적인 만남을 꾸준히 가져오고 있다”며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함은 물론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초심을 잃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6회 아름다운 음악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쌍용자동차 홈페이지(www.smotor.com)를 참조하거나 가까운 쌍용자동차 영업소(1588-3455)로 문의 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서울시의회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 관련 대법 소송서 승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는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에 대해 문화체육부장관이 제기한 의결 무효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6일 조례안 의결이 유효하다고 서울시의회에 승소판결을 했다고 밝혔다. 대법원 1부가 서울시의회의 ‘서울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이 문화재보호법 등을 위배하지 않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서울시의회가 지난해 5월 제정한 ‘서울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는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돼,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국가지정유산 100m이내)을 벗어난 곳에 대한 규제가 사라지게 됐다. 문화재보호조례는 24년 5월 폐지되고 ‘서울특별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로 대체 입법된 바 있다. 서울시의회는 23년 9월 본회의에서 김규남 의원이 대표발의 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안을 가결했다. 서울시의회는 문화재 보호조례 제19조제5항이 상위법인 문화재보호법의 위임이 없는데도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바깥에 대해서도 포괄적·추상적 규제를 가능하도록 한 것은, 문화재 보호와 시민의 삶이 공존·상생하는 도시 환경을 저해하는 과잉 규제라고 판단한 것이다. 서울시의회가 통과시킨 이 조례안을 서울시장이 23년 10월 공포하자, 문화체육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