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6월 수입차 역대 최다...2만4275대 팔렸다

URL복사

BMW 5744대로 1위…유럽車 82% 점유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지난 달 수입차가 무려 2만4275대나 판매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1987년 1월 국내에 수입 승용차가 공식적으로 들어온 이후 월간 판매량 기준 역대 최고 성적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6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가 5월(1만8386대) 보다 32% 증가한 2만4275대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6월 등록대수는 지난해 같은 달 1만7803대 보다도 36.4%나 증가했다. 2015년 상반기 누적대수 11만9832대는 전년 동기 9만4263대 보다 27.1% 증가한 수치다.

6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비엠더블유(BMW) 5744대 ▲폴크스바겐(Volkswagen) 4321대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4196대 순으로 높았다.

또 ▲아우디(Audi) 2150대 ▲포드(Ford/Lincoln) 1120대 ▲랜드로버(Land Rover) 825대 ▲미니(MINI) 785대 ▲렉서스(Lexus) 727대 ▲토요타(Toyota) 711대 ▲푸조(Peugeot) 678대 ▲크라이슬러(Chrysler/Jeep) 602대 ▲포르쉐(Porsche) 479대 ▲혼다(Honda) 464대 ▲닛산(Nissan) 461대 ▲볼보(Volvo) 316대 ▲인피니티(Infiniti) 254대 ▲재규어(Jaguar) 253대로 뒤를 이었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 미만 1만3886대(57.2%) ▲2000㏄c~3000㏄ 미만 8176대(33.7%) ▲3000㏄~4000㏄ 미만 1630대(6.7%) ▲4000㏄ 이상 557대(2.3%) ▲기타 26대(0.1%)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1만9863대(81.8%) ▲일본 2617대(10.8%) ▲미국 1795대(7.4%) 순이다. 연료별로는 ▲디젤 1만7292대(71.2%) ▲가솔린 6095대(25.1%) ▲하이브리드 862대(3.6%) ▲전기 26대(0.1%) 순이었다.

구매 유형별로는 2만4275대 중 개인구매가 1만5107대로 62.2%, 법인구매가 9168대로 37.8%였다.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 4218대(27.9%), 서울 4006대(26.5%), 부산 951대(6.3%) 순이었다. 법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인천 3431대(37.4%), 부산 1618대(17.6%), 경남 1506대(16.4%) 순으로 집계됐다.

베스트셀링 모델은 폭스바겐 티구안(Tiguan) 2.0 TDI 블루모션(BlueMotion)(1062대), 폭스바겐 골프(Golf) 2.0 TDI(1006대), 비엠더블유 520d(863대) 순이었다.

윤대성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전무는 "6월 수입차 시장은 각 브랜드별 적극적인 프로모션과 일부 브랜드의 물량확보 및 신차효과에 힘입어 역대 최다기록을 세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