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터미네이터', 북미 개봉 첫 주말 힘겨운 3위

URL복사

[시사뉴스 조종림 기자] 개봉 첫 주말 국내 박스오피스 정상에 오른 '터미네이터 제니시스'(감독 앨런 테일러)가 정작 북미 현지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터미네이터 제니시스'는 개봉 4주차인 '쥬라기 월드'(감독 콜린 트레보로), 개봉 3주차를 맞은 '인사이드 아웃'(감독 피트 닥터)에 밀려 북미 박스오피스 3위에 올랐다.

북미 박스오피스 집계 사이트 '박스오피스 모조'에 따르면, '터미네이터 제니시스'는 3~5일 3758개관에서 2870만 달러(약 322억원) 수입을 올리는 데 그쳤다. 누적수입액은 4415만6000달러다.

이 영화의 제작비는 1억7000만달러(약 1900억원)로 알려졌다.

영화는 1984년 시작해 2009년까지 이어진 '터미네이터' 시리즈의 다섯 번째 작품이며 '터미네이터' 리부트 시리즈의 첫 번째 편이다.

리부트는 지금까지 이어졌던 시리즈를 전작에서 종결하고, 새롭게 시리즈를 시작한다는 의미로 '터미네이터' 리부트는 모두 3편으로 계획돼 있다.

 '터미네이터 제니시스'의 흥행 성적이 얼마나 좋지 않은 것인지는 주말 박스오피스 1, 2위에 오른 '쥬라기 월드'와 '인사이드 아웃'의 개봉 첫 주말 수입액을 보면 알 수 있다.

 '쥬라기 월드'의 개봉 첫 주말 수입은 2억880만6270달러, '인사이드 아웃'은 9044만272달러였다.

이번 작품은 젊은 새라 코너(에밀리아 클라크)와 그를 지키는 터미네이터 T-800 '팝스'(아널드 슈워제네거)의 이야기를 그렸다. 이들이 새로운 인조인간 로봇 T-3000에 맞서는 게 영화의 큰 줄기다.

원조 터미네이터 아널드 슈워제네거가 돌아왔고 제이슨 클라크, 에밀리아 클라크, 제이 코트니, J K 시먼스 등이 출연했다.

 '쥬라기 월드'는 주말 동안(3~5일) '터미네이터 제니시스'보다 적은 3737개관에서 관객을 만났지만, 309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북미 누적수입액은 5억5813만7000달러(약 6267억원)다.

픽사의 애니메니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은 같은 기간 4158개 관에서 상영돼 3010만5000달러 수입을 올려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다. 누적수입액은 2억4616만 달러다.

영화는 인간의 감정을 다섯 가지(기쁨, 슬픔, 분노, 까칠, 소심)로 나눈 뒤 의인화해 진행된다. 11세 소녀 라일리의 '감정 컨트롤 본부'에서 기쁨과 슬픔이 우연한 사고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토이스토리'의 원안을 쓰고 '업'(2009)을 연출한 피트 닥터 감독이 만들었다.

국내에는 9일 개봉 예정이다.

4위는 1160만 달러를 벌어들인 '매직 마이크 XXL'(감독 그레고리 제이콥스), 5위는 1100만 달러의 '19곰 테드2'(감독 세스 맥팔레인)이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