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예년과 다른 뜨거운 분양시장…청약 31곳·모델하우스 13곳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7월 첫째주 분양시장이 비수기에 들어가지만 올해는 예년과 달라 많은 분양 물량이 나오고 있다.

27일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다음주에는 청약접수 31곳, 당첨자 발표 20곳, 당첨자 계약 9곳, 모델하우스 개관 13곳 등이 예정돼 있다.

30일 현대산업개발이 경기 수원시 광교신도시 C3블록에 공급하는 '광교 아이파크'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아파트 전용면적 84~90㎡ 958가구와 오피스텔 전용면적 84㎡ 282실로 구성된다.

광교중앙로, 광교호수로, 용인~서울간고속도로 흥덕IC, 경부고속도로 수원신갈IC, 영동고속도로 동수원I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016년 2월에는 신분당선 연장선이 광교신도시로 연결된다.

단지 인근에 홈플러스, 이마트, 아주대병원, 수원프리미엄아울렛, 롯데아울렛(예정)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중앙기독초, 중앙기독중, 매원초, 소화초, 원천중, 동수원중, 흥덕고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같은날 한신공영과 제일건설이 세종 2-1생활권 P1(L1·M1블록)구역에 공급하는 '한신휴플러스·제일풍경채'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전용면적 59~135㎡ 총 2510가구로 구성된다.

단지 인근에 정부종합청사, 백화점이 들어서는 중심상업지구인 2-4생활권, 세종호수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단지 북쪽으로 다빛초가 위치해 있고 남쪽으로 초중고가 들어설 예정이다.

7월1일 GS건설이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99번지 일대에 공급하는 '왕십리자이'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지하 4층~지상 20층 7개동, 전용면적 51~84㎡ 총 713가구 중 287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서울지하철 2호선 신당역, 상왕십리역, 왕십리역을 걸어서 10~15분 내로 이용할 수 있다. 퇴계로, 왕십리로, 난계로 등도 이용이 가능하다.

단지 인근에 롯데마트, 이마트, 한양대병원, 무학봉 근린공원, 응봉공원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신당초, 금호여중, 무학중, 무학여고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같은날 대림산업이 경기 수원시 광교신도시 B3·B4블록에 공급하는 'e편한세상 테라스 광교'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지하 1층~지상 4층, 전용면적 84~273㎡ 총 576가구로 구성된다.

개통 예정인 신분당선 경기대역(가칭)이 인접해 있고 영동고속도로, 용인서울고속도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 이마트(예정), 홈플러스, 롯데아울렛(예정), 광교산, 성죽공원, 광교홍재도서관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광교초, 광교중, 이의고, 경기대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7월3일 포스코건설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RM2블록에 공급하는 '송도 더샵 센트럴시티'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아파트 전용면적 59~172㎡ 2610가구와 오피스텔 전용면적 84㎡ 238실로 구성된다.

인천지하철 1호선 지식정보단지역과 테크노파크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송도국제대로, 제2경인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등도 이용이 가능하다.

단지 인근에 롯데마트, 홈플러스, 현대프리미엄아울렛(예정), 송도컨벤시아, 페스티벌 워크(예정), 누리공원, 미추홀공원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송명초, 해송초, 해송중, 해송고, 인천대 등의 교육시설도 가까이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