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스마트워치 시장 경쟁 갈수록 치열…스와치도 가세

URL복사

삼성전자, 애플과 함께 3파전 펼칠 듯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손목 위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애플이 스마트워치 '애플워치'를 중국, 미국 등에 이어 국내에서도 출시한 데 이어 세계 최대의 시계업체 스와치(Swatch)도 올 여름부터 스마트워치 시장에 뛰어든다. 삼성전자는 오늘 9월 신제품 '기어A(가칭)'를 내놓고 스마트워치 시장 수성에 나선다.

스와치는 본고향인 스위스와 세계 1위 인구대국 중국에 스마트워치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 스마트워치는 기존 시계에 스마트폰의 근거리무선통신(NFC)기능과 결제 기능 등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와치는 지난해 가을부터 스마트워치를 독자적으로 개발해왔다. 스와치는 스마트워치에 탑재할 저전력 마이크로칩,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배터리를 협력사를 통해 준비해왔다.

스와치는 스마트워치 시장에서 삼성전자, 애플 등과 3파전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스와치는 정교한 세공 기술로 유명한 데다 디자인도 다양하고 독특해 두터운 마니아층을 자랑한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워치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기능성에 초점을 맞췄으나 최근에는 디자인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애플은 스마트폰 기능이 들어간 고급 패션소품을 지향하며 다양한 디자인의 스마트워치를 선보였다.

LG전자, 중국 화웨이, 샤오미, 일본 소니 등도 스마트워치 시장에서 점유율을 늘리기 위해 애쓰고 있다.

중국은 스마트워치 최대 격전지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스와치는 중점 공략 대상 국가로 중국을 꼽고 있다. 애플은 2015 회계연도 2분기(1∼3월) 중국에서 아이폰6로 돌풍을 일으키며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성장세 둔화에 따라 중저가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스마트워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것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전자 업체는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워치 판매량을 늘리면 스마트폰 주목도를 높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올해 세계 스마트폰 성장율은 2.5%로 지난해 보다 20% 가량 하락할 전망이다. 시계 제조 업체는 스마트워치 출시를 계기로 스마트폰 대중화로 줄어든 시계 판매량을 늘리는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