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대기업 CEO 경영성과 1위는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박성욱 SK하이닉스 사장이 매출 5조원 이상 국내 500대 기업 CEO(오너 포함) 가운데 지난해 가장 우수한 경영 성과를 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2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보험·증권사 제외) 가운데 사업 기간이 3년 이상인 기업에서 1년 이상 재임한 CEO 466명(345개 사)을 대상으로 지난해 경영성과를 평가한 결과, 박 사장은 100점 만점에 73.5점을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조사 대상 기업 전체 CEO의 평균 점수 54.1점보다 19.4점이나 높은 수치다.

박 사장은 5개 평가 항목(20점 만점) 중 2011년 이후 3년간 매출액 평균성장률(CAGR) 대비 전년도 매출 성장률 갭(18점)과 수익성 지표인 ROE(15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ROE는 23.3%로 5조 원 이상 500대 기업 중 가장 높았고, 지난해 매출은 17조125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9% 증가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거뒀다. 특히 모바일 시장 성장에 따른 D램과 낸드플래시 부문에서의 실적 호조가 가장 큰 힘이 됐다.

이어 김경배 현대글로비스 사장이 박 사장보다 1.5점 낮은 72점을 받아 2위에 올랐다. ROE(16점)와 매출액 성장률(15.5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3위는 67점을 얻은 홍기택 한국산업은행 회장에게 돌아갔다. 지난해 매출증가율(20점)은 만점을 받았지만, 수익성 지표인 ROE(9.5점)와 재무건전성을 보여주는 부채비율(11.5점)에선 큰 차이로 뒤졌다.

윤준모 현대위아 사장과 김봉영·윤주화 제일모직 사장은 66.5점으로 공동 4위다. 현대모비스의 정몽구 회장·정명철 사장은 65.5점으로 6위, 전동수 삼성SDS 사장과 박용환 한라비스테온 사장은 63.5점으로 공동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63점)과 박진수 LG화학 부회장(62점)은 9·10위를 차지하며 '톱10'에 올랐다.

11~20위는 김해성·이갑수 이마트 사장, 유정준 SK E&S 사장과 박재홍 한화 사장,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삼성전자의 권오현 부회장과 윤부근·신종균 사장, 현대차의 정몽구 회장과 김충호·윤갑한 사장, 황태현 포스코건설 사장, 프란시스랏츠 한화토탈 부사장, 이형근 기아차 사장, 전병일 대우인터내셔널 전(前) 사장, 이웅범 LG이노텍 사장 등이다.

5조 원 미만 500대 기업 중에선 핸드백 제조업체인 박은관 시몬느 회장(75점)이 1위다. 요하네스 타머 아우디폴크스바겐코리아 사장(74.5점)과 김상헌 네이버 사장(73.5점)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이어 울프 아우스프룽 한성자동차 사장이 72.5점으로 4위, 이영관 도레이첨단소재 회장과 조시영 대창 회장이 70.5점으로 공동 5위, 브리타제에거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사장과 윤석춘 삼립식품 사장이 70점으로 공동 7위, 최양하 한샘 회장과 김성회 대륜E&S 사장이 69.5점으로 공동 9위다.

이번 조사는 ▲전년 대비 2014년도 매출액 증가율 ▲최근 3년간 연평균 매출성장률(CAGR) 대비 지난해 초과 성장률 갭 ▲자기자본이익률(ROE) ▲부채비율 ▲고용증가율 등 5개 항목을 평가해 경영 성적을 점수화했다.

또 5개 평가 항목을 기업 규모별, 업종별 특성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구분해 표준편차를 구하고, 각 항목당 1~20점씩 부여해 총점 100점 만점으로 했다. 최종 평점은 업종별·규모별 합계치의 평균값으로 계산했다. 삼성SDI와 현대제철, 현대엔지니어링 등 기업합병으로 총점의 왜곡 가능성이 있는 기업은 이번 조사에서 제외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