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 전세난 여파 경기도 주택시장 호조

URL복사

서울 지역 세입자 경기도로 빠져나와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서울 지역 세입자들이 전세난 여파로 경기도로 빠져나오자 경기 지역 주택시장이 점차 활기를 띠고 있다.

19일 부동산114 등에 따르면 서울 지역 세입자의 이전 수요에 힘입어 경기도 주택시장이 거래 증가 속에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4월 경기도 아파트 매매 거래건수는 2만4069건으로 최근 6년 사이에 4월 거래량으로는 최다 기록을 세웠다. 지난해 4월(1만7209건)과 비교하면 무려 39.9%, 2013년 4월(1만3516건) 보다는 무려 78.1%나 늘어났다.

거래 증가 속에 가격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올들어 6월12일 현재까지 경기지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2.19%에 달했다.

하남시가 6.22%로 가장 높은 매매가 상승률을 기록한 가운데 김포시(4.19%), 구리시(2.24%), 고양(2.11%), 용인시(1.96%), 의정부(1.45%) 등도 침체 국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미분양물량이 크게 줄어들고, 신규 분양시장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운양동 한강푸르지오2차, 장기동 e편한세상 캐널시티 등은 3000만~4000만원선의 프리미엄이 형상되는가 하면 경기북부에 위치한 의정부 민락2지구 호반베르디움1차 1567가구는 분양 2개월만에 완판됐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도 서울 인접 택지지구에서 분양물량을 늘리고 있다.

호반건설은 경기 의정부시 민락2지구 B2·B12블록에 전용면적 84㎡ 총 989가구의 '민락2지구 호반베르디움 2·3차'를 6월말 동시 분양한다. 호반베르디움 2차는 B2블록, 지상 25~26층 526가구, 호반베르디움 3차는 B12블록 지상 24~28층 463가구로 구성된다.

GS건설은 경기 부천시 옥길지구에 지하 3층~지상 29층, 아파트 5개동 전용면적 84~122㎡ 566가구, 오피스텔 1개동 전용 78∙79㎡ 144실 규모의 '부천 옥길자이'를 분양한다.

대우건설은 6월 경기 구리시 구리갈매지구 C1블록에 '구리 갈매 푸르지오'를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25층, 10개동 전용면적 84~142㎡ 총 921가구로 구성됐다.

포스코건설도 같은 달 경기 하남시 미사강변도시 A23블록에 '미사강변 더샵 센트럴포레'를 공급한다. 지상 29층, 5개동 전용면적 73~101㎡ 총 487가구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경기지역에서 안정적인 내집마련을 위해서는 서울로의 접근성과 발전 가능성을 갖췄는지를 따져보고 소득을 고려해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대출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