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18일 연내 기준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와 속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대체적으로 미국이 9월 또는 12월부터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미국이 완만하게 금리를 올릴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박해식 한국금융연구원 국제금융연구실장은 "시장에서는 9월 또는 12월에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는 데 12월에 25bp(0.25%포인트) 정도 올릴 것이라는 예상이 우세한 것 같다"며 "빨리 올려도 1년 내에 50~100bp 정도 올리지 않겠냐는 것이 시장의 예상이다"라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미국이 금리를 점진적으로 올린다고 전제하면 자본이 큰 폭으로 빠져나가지는 않을 것"이라며 "금융시장이 크게 불안해질 것 같지는 않다"고 예상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얘기하는 것을 보면 금리인상은 상당한 시간을 두고 온건한 형태로 진행될 것 같다"며 "그렇게 진행된다면 직접적인 형태의 금융시장을 통한 충격은 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미국의 금리인상은 속도와 폭이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미국이 예상을 깨고 급격히 금리를 올릴 경우 우리 경제에도 적지않은 충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금 제일 중요한 것은 금리인상 시기보다 속도"라며 "미국이 과거에 했던 것처럼 2~3개월에 한 번씩 25bp 이상씩 올린다면 (신흥국 경제에는) 재앙적인 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안 교수는 "지금까지 Fed가 다른 나라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서 금리를 올렸던 적은 한 번도 없다"며 "다만 신흥국 시장이 심각하게 타격을 받으면 미국 경기도 침체될 수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속도를 관리해 줄 여지는 있다"고 설명했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이 금리를 급격히 올리면 세계 경기는 하방 압력이 강해진다고 봐야 한다"며 "특히 우리는 경기가 굉장히 나쁘고 금융통화정책 쪽으로는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금융 당국의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안동현 교수는 "지금은 미국이 과거처럼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할 확률이 적더라도 만에 하나 그렇게 될 경우에 대비해 위험을 관리해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국채시장에서 자금이 어떤 식으로 유출될 지 살펴봐야 하고 거시건전성 '3종세트'도 다시한번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며 "다른나라와 통화스와프 규모를 확대하는 등 버퍼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가장 큰 문제는 가계부채"라며 "정부가 가계부채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는데 늦은 감이 있지만 가계부채의 총량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기계적인 추격 인상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 경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은 있겠지만 거기에 맞춰서 섣불리 금리를 올리거나 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현재 가계부채 1000조원의 모래성을 쌓아놓고 있는데 금리를 올리면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고 대량 연체가 나와 걷잡을 수 없게 있다"고 설명했다.
성태윤 교수는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우리 경제사정이 개선됐으면 금리를 올리고 아니라면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채권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성급하게 금리를 올리게 되면 기업의 미래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급격히 나빠져 오히려 자금 유출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