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시,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 가결로 본격 추진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서울시가 2030 공원녹지기본계획을 본격 추진한다.

서울시는 '2030 서울특별시 공원녹지기본계획(안)'에 대한 법정 마지막 절차인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가결됐다고 17일 밝혔다.

공원녹지기본계획은 서울의 자연, 인문, 환경 등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고려해 공원녹지의 확충·관리·이용·보전에 관한 장기적인 계획이다.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공원녹지 분야의 정책 비전과 구조적 틀을 제시하기 위한 기본계획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공원녹지 분야의 미래상으로 '더불어 사는 숲의 도시, 서울'을 제시한다. 4개 핵심이슈는 ▲공원 소외지역 해소 ▲도시생태 건강증진 ▲걷기 좋은 녹지조성 ▲시민참여 공원운영 등이다. 공원녹지 벨트화·입체화 다기능화를 통한 실현방안을 마련한다.

서울시는 2011년부터 최초 계획안을 수립하고 공청회, 관련 기관·부서 협의, 도시공원위원회 자문,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일련의 절차를 진행해 왔다.

서울시는 '2030 서울특별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8월께 이를 공고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