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현대차 급락' 삼성·현대차 펀드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국내 1, 2위 그룹 삼성과 현대차를 테마로 한 펀드의 지난주 수익률이 모두 마이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엔저(低)로 인한 해외 판매실적 부진 우려로 최근 시가총액이 크게 줄어든 현대차그룹 계열사들의 주가하락이 만들어낸 결과로 풀이된다.

7일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1주일간(5월29일~6월4일) 수익률은 삼성그룹주 펀드 -2.69%, 현대차그룹주 펀드 -4.04%다.

이는 운용순자산이 100억원 이상 주식형 펀드를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다.

두 펀드의 마이너스 수익률의 핵심은 '현대차의 폭락'이다.

두 펀드 포트폴리오에는 공통적으로 삼성전자 및 현대차 계열사가 비중 상위 10위권에 포진해 있다.

두 그룹주 펀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주가는 그간 하락세를 이어오다 이 기간 130만7000원에서 133만7000원으로 2.3% 소폭 상승했다.

반면 지속되는 엔저 현상과 최근 메르스 사태로 인한 국내외 판매 부진이 예상되는 현대차, 기아차를 포함한 현대차그룹의 핵심 계열사 주가는 폭락했다.

이 기간 판매부진의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되는 현대차는 12%, 기아차는 6.7%씩 하락했다. 그룹의 핵심 계열사 현대모비스도 8.9%나 떨어졌다.

두 펀드의 마이너스 수익률은 삼성전자의 증가폭에 비해 현대차 계열사들의 하락폭이 훨씬 컸던 탓으로 분석된다.

그러면서도 삼성그룹주 펀드의 손실폭이 현대차에 비해 작았던 데는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의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반대 소식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엘리엇은 두 회사 합병 반대를 위한 경영권 참여 목적으로 지난 2일과 3일 양일에 걸쳐 삼성물산 지분 7.12%(1112만5927주)를 매입했다.

'삼성물산 가치 제고'를 명분으로 내세운 엘리엇의 행보는 삼성물산 주가를 끌어올렸다.

합병 발표 당일인 26일 이후 27일을 기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던 삼성물산 주가는 엘리엇의 지분 매입 소식이 전해진 4일에만 10.3%가 급증했다.

삼성그룹주 포트폴리오 중 현대차, 기아차 등 현대차그룹주가 부진한 성적을 냈지만, 이보다 비중이 높은 삼성물산 주가의 큰 폭 상승이 손실을 다소 만회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