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우리나라 국부, GDP의 7.7배 달하는 1경1039조원…토지·건물 비중 88%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우리나라의 국부(國富)가 1경1039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총생산(GDP)의 7.7배 수준이다.

정부와 기업을 뺀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6365조원대로 가구당(2.61인) 평균 순자산은 3억3085만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1억2676만원인 셈이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3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자산-부채)은 1경1039조2000억원이다.

국민순자산은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371조5000억원 증가했다. 비금융자산이 1년 전보다 309조7000억원 늘어난 데다 경상수지 흑자로 순금융자산도 61조8000억원 늘어난 것이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GDP 대비 비율이 2011년 이후 3년째 7.7배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은 비금융자산 증가율이 주춤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명목 GDP의 증가세도 둔화됐기 때문이다.

2013년 비금융자산 규모는 1경1078조5000억원에 달한 반면 금융부채를 뺀 순금융자산은 -39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건물, 토목, 설비, 토지 등으로 구성된 비금융자산 가운데 토지자산과 건설자산은 각 5848조원(52.8%), 3941조5000억원(35.6%)에 달해 전체의 88.4%를 차지했다. 건설자산은 최근 부진했던 투자가 증가하면서 전년에 비해 165조원 늘어난 규모를 보였다.

이밖에 설비자산 648조7000억원(5.9%), 재고자산 321조6000억원(2.9%), 지식재산생산물 273조2000억원(2.5%) 등으로 나머지 자산은 전체의 11.6%에 불과했다.

제도부문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 단체가 보유한 순자산은 6365조9000억원, 일반정부 3093조3000억원, 비금융법인기업 1335조3000억원, 금융법인기업 244조7000억원 등이다.

우리나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보유자산 중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총자산을 기준으로 2011년 66.6%에서 2013년 64.7%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비금융자산 비중이 순자산기준으로는 77.2%에 달해 미국(35.1%), 일본(46.3%) 등에 비해 여전히 높았다.

특히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비금융자산 중 69.5%에 차지하는 3412조6000억원을 토지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2013년 주택 시가총액은 3147조5000억원으로 GDP대비 2.2배로 집계됐다. 2000년 1.7배에서 부동산 호황을 거치며 2007년 2.2배까지 상승했으나 부동산 시장의 부진으로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생산에 투입되는 자본량을 나타내는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2001년 4.6%에서 2012년에 4%로 떨어진 뒤 2013년 3.7%에 그쳤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