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5월 봄바람 물량…청약 22곳·모델하우스 7곳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5월에도 전국적으로 분양물량이 쏟아지고 있다.

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다음주(11~15일)에는 청약접수 22곳, 당첨자 발표 17곳, 당첨자 계약 16곳, 모델하우스 개관 7곳 등이 예정돼 있다.

13일 대림산업이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149번지 일대에 공급하는 'e편한세상 신촌'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지하 5층~지상 34층 22개동, 아파트 전용면적 59~114㎡ 총 1910가구 중 62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서울지하철 2호선 아현역과 접해 있고 신촌로, 마포대로, 강변북로, 내부순환도로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는 현대백화점, 그랜드마트, 하나로클럽, 롯데마트, 롯데아울렛, 밀리오레, 연대세브란스병원, 강북성심병원, 손기정체육공원 등의 편의시설이 있다.

북성초, 한성중, 아현중, 중앙여중, 한성고, 중앙여고, 연세대, 이화여대, 서강대, 추계예술대, 경기대, 숙명여대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같은날 한신공영과 제일건설이 경기 부천시 옥길지구 A3·C2블록에 공급하는 '제이드카운티'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지하 2층~지상 29층, 전용면적 74~97㎡ 총 1190가구로 구성된다.

직선거리 3㎞ 거리 이내에 서울지하철 1호선 역곡역과 서울지하철 7호선 온수역·천왕역이 위치해 있다. 서해안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IC와 제2경인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등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 홈플러스 부천소사점, 하나로마트 소사점, 이마트(옥길지구 입점 예정), CGV, 남부수자원생태공원, 범박도서관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단지 바로 옆으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들어설 예정이다.

14일 현대산업개발이 경기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E1·E2블록에 공급하는 '수원 아이파크 시티 5차'의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전용면적 31~74㎡ 총 550가구로 구성된다.

수도권전철 1호선 세류역을 이용할 수 있고 덕영대로, 경수대로, 경부고속도로 수원IC, 봉담~동탄간 고속도로, 오산~화성간 고속도로, 수원버스터미널 등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 이마트, 롯데마트, NC백화점, AK플라자, 롯데복합쇼핑몰, CGV, 영풍문고, 수원농수산물도매시장, 시립도서관, 장다리천, 마중공원, 청정공원, 수원골프연습장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선일초, 곡정초, 곡반중, 화홍중, 권선고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15일 반도건설이 대구 동구 신천동 4-10번지 일대에 공급하는 '동대구 반도유보라'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24층 9개동, 전용면적 39~84㎡ 총 764가구 중 563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단지 바로 앞에 대구지하철 4호선 신천역이 위치해 있고 동부로, 송라로, 신천대로 등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 동대구역,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이마트, 칠성종합시장, 시민체육공원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동신초, 신천초, 중앙중, 중앙고, 청구고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같은날 현대산업개발이 경남 거제시 양정동과 문동동에 공급하는 '거제2차 아이파크'의 모델하우스를 개관한다. 지하 2층~지상 25층 16개 동, 전용면적 73~103㎡ 총 1279가구로 구성된다.

거제중앙로, 국도우회로, 양정터널 등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단지 인근에 하나로마트, 거제시청, 백병원, 거제포로수용소유적공원, 거제공설운동장, 거제시종합사회복지관 등의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고 삼룡초, 고현중, 상문고 등의 교육시설도 인접해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