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한화갤러리아 제주면세점 오픈 첫해 '흑자'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한화갤러리아의 제주국제공항 면세점 '갤러리아 듀티프리'가 지난해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한화갤러리아는 6일 2014년 4월 갤러리아 듀티프리 임시매장을 연 후 국내 면세사업자 중 최단 기간에 흑자 달성에 성공, 진입 첫해 수익을 실현한 최초 사업자가 됐다고 밝혔다.

갤러리아 제주공항 면세점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약 9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갤러리아는 제주공항면세점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인 고객들의 선호상품을 전략적으로 배치,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MCM, 스테파노리치, 키린 등이 중국 고객으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 갤러리아 듀티프리 멤버십 카드 소지고객들에게 아시아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아쿠아플라넷 제주 입장권을 30% 할인해주는 파격적인 혜택을 제공, 외국인 고객들의 호응을 얻었다.

갤러리아 제주공항면세점 진금탁 점장은 "고객 중심의 구매혜택 제공을 지속하고, 고객 인지도 향상을 위한 외부 홍보와 전략적 제휴 확대를 통해 하반기 매출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갤러리아는 제주면세점 운영에서 드러난 운영능력이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권 선정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시내 면세점 특허심사 평가 기준에 따르면 면세점 관리능력은 전체 1000점 만점에 250점을 차지한다.

갤러리아 관계자는 "이제 막 1년을 넘긴 초기 신규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최단기간 흑자 달성과 법규수행능력 최상위 등급 획득이라는 결과를 냈다"며 "매우 우수한 면세점 관리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