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현대차 정의선 부회장 지분 보유 계열사 4년간 순익 급증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부회장이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의 지난 4년간 순이익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그룹 전체 순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2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계열사 51곳 중 순이익 상위 10위권에 든 계열사 중 현대글로비스와 현대위아,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의 순이익이 201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부회장은 이 가운데 현대건설을 제외한 현대글로비스와 현대엔지니어링, 현대위아의 지분을 차례대로 31.88%, 11.72%, 1.95%씩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현대엔지니어링이 현대엠코를, 현대위아는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를 합병하면서 이들 지분도 보유하게 됐다.

현대글로비스(5763억원)의 순이익은 117%, 현대위아(4047억원)는 196.1%나 급증했다. 이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는 '톱 10' 7위에서 5위로, 현대위아는 9위에서 6위로 올라갔다.

현대엔지니어링(8위)은 현대건설(7위)과 함께 톱 10에 진입했다.이 두 계열사는 2011년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곳이다.

이에 반해 현대차그룹 51곳 중 지난해 당기순이익 상위 10위권의 순이익은 총 12조2940억원으로 4년 전에 비해 1.6% 감소했다.

현대차(4조9137억원)는 6.7%, 현대모비스(2조1385억원)는 11.8%, 현대제철(7511억원)은 25.9% 각각 감소하면서 실적을 끌어내렸다. 금융계열사인 현대캐피탈(2415억원)은 52.8%, 현대카드(2235억원)는 36.7% 줄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