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분양시장 특화전략…"고급화·특별함을 한번에"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부동산시장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건설사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분양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건설사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 실수요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특화전략은 물론이고 장점과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 건축공법도 실수요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좋은 무기가 되고 있다. 실제로 건설사들은 기존과 다른 설계공법을 강조하며 분양전쟁에서 자웅을 겨루고 있다.

삼성물산이 서울 용산구 동부이촌동 300-3번지의 렉스아파트를 재건축한 '래미안 이촌 첼리투스'가 대표적이다.

한강변 아파트 중 가장 높은 층수를 자랑한다. 최고 높이가 약 200m, 56층이다. 남산(262m)과 맞먹는 높이다. 높이만큼이나 독특한 설계도 강조하고 있다.

각 동마다 57m높이의 17층이 스카이브릿지로 연결되는 독특한 설계가 적용됐다. 3개동 17층에는 커뮤니티시설이 조성돼 있고 스카이브릿지를 통해 지상을 통하지 않고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스카이브릿지는 길이 43m, 무게 230t으로 세계 최고층 아랍에미리트(UAE) 부르즈 칼리파(828m) 꼭대기 첨탑 설치작업에 사용됐던 초고층 건축기술력인 '리프트업(Lift Up)'공법이 적용됐다.

차별화된 공법은 더이상 초고층 건물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일반 아파트와 오피스텔에서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서울 강동구 고덕동 670 일대에 분양중인 '고덕 래미안 힐스테이트'는 층상배관 공법이 적용됐다. 욕실 간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다.

층상 배관 공법은 모든 배관 설비를 해당 층에 설치하고 세대별로 분류해 화장실 바닥이 아닌 벽체 내부 통합 배관으로 배수하는 기술이다. 배관 유지와 보수도 간편하다.

대우건설이 서울 용산역 전면2구역(서울 용산구 한강로 2가 391번지 일대)을 재개발해 분양중인 '용산 대우푸르지오 써밋' 오피스텔은 커튼월(Curtain Wall) 공법을 사용했다.

커튼월 공법은 유리나 금속판 같은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커튼을 쳐놓듯 판 형태로 붙여 외관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건물의 창문과 달리 하중을 지지 않아 개성 있는 외관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과 다른 공법으로 설계된 건물들은 실수요자들에게 고급스러움은 물론 특별함이라는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