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문화

어느덧 역사가 돼 버린 옛 신문

URL복사


어느덧 역사가 돼 버린 옛 신문


전직 신문기자가 엮어 쓴 <옛날 신문을 읽었다>



“우리는
통상 한 시대를 관찰하고자 할 때 정치적으로,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접근해보곤 합니다. 그러나 그 시대의 ‘개인’과 ‘생활인’들이 어떻게
살았었느냐 하는 점에 대해서는 간과하기 쉽습니다.”

전직 신문기자 출신인 이승호 씨는 자료수집을 위해 오래된 신문들을 보다가, 옛날 신문을 읽는 재미에 푹 빠져 버렸다. 그는 “옛날 신문에
사람들의 체온, 숨결, 땀이 고스란히 들어있다”며, “역사는 도표화되고 도식화된 편년체로 정리할 수 있지만, 사람들의 숨결과 땀까지 담을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1950년대 이후 가난하고 국가의 통제가 심했던 시절에 쓰여진 흥미로운 신문 기사들을 “누렇게 변색하고 곰팡이가 퍼렇게 낀 수십
년 전의 낡은 신문철을 넘기며” 골라냈다. 그리고 기사 내용과 관련된 정보 및 자신의 경험담을 함께 담았다. 특히 옛날 신문에 실린 기사를
‘날 것’ 그대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시절과 오늘날의 모습을 비교하여 꼬집어봄으로써 지난 시대를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장발·미니스커트 단속, 야간 통행금지 등 눈에 보이는 과도한 사회적 통제가 이제는 사라졌다. 1960년대 가슴이 약간 드러난다는 이유만으로
앙드레김이 디자인한 ‘아리랑 드레스’는 ‘순결과 정절의 적’으로 비판 받았지만, 지금은 웃어 넘길 수 있는 과거사가 됐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저자는 “그래도 이 사회는 나름대로 발전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과거 잘못된 관행을 답습하는 아쉬운 모습도 여전히 눈에 띈다. “등교시간이 너무 빨라 학생들이 아침밥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한국일보
1974년 4월 3일자)” 모습은 수십 년이 지난 요즘에도 흔히 볼 수 있는 안타까운 풍경이다. 1957년 강 아무개가 “이승만의 양자
이강석”을 사칭하고 다녔던 ‘귀하신 몸’ 사건도, 권력에 기대 한몫 챙기려는 파리 떼들이 적지 않은 정치권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그렇다고 옛 시절을 마냥 우울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머리를 마음대로 기를 수도 없고 대학 교정에서 <러브스토리>
흉내를 내다가 정학 당한 연인이 있을 정도로 통제된 시대였지만, 오히려 “그 시절의 ‘개인’들이 지금의 ‘개인’들보다 더 따뜻하고 인간적이었다”고
회상한다. 저자는 “얼마 전 신문에서 방글라데시 주민들의 행복지수가 선진국 못지 않게 높다는 이야기를 흥미롭게 읽었다”며 물질의 풍요가
행복을 가져다 준다는 일반적 통념에 의문을 던졌다.









새책 소개
아줌마
밥먹구 가

오한숙희/ 여성신문사/ 8,500



자연과 여성은 닮았다! 시골살이를 통해 발견한 여성의 무궁무진한 가치들. 여성과 자연을 닮은꼴로 이해하고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이
담겨 있다. 살아있는 생활언어 속에 여성의 삶이 녹아 있다.


 


나는
아주 오래 살 것이다


이승우/ 문이당/ 8,500



1993년 <生의 이면> 이후 꾸준히 문단의 주목을 받아 온 중견 작가 이승우의 중·단편 소설집이다. 작가는 인간의
내면 세계에 대해 치열하게 탐사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이 책에서는 현대인들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서사를 통해 풀어냈다.


 




신주련/ 행복한책읽기/ 8,000



“당신이 만약 뜻밖의 아이를 선물로 받는다면…?” 신주련, 전순걸 부부가 장애 입양아를 키우며 썼던 눈물겨운 육아일기가 한 권의
책으로 묶여 나왔다. 눈가에 눈물 한 방울, 입가에 미소 한 줄기 떨어뜨려 주는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이야기.



이원순 기자 blue@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