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2월 완성차 실적 르노삼성만 웃었다

URL복사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지난달 영업일수 감소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판매실적이 역주행했다. 르노삼성자동차만 지난해 동월 대비 2배의 성장세를 보여 선방했다.

2일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르노삼성, 한국지엠 등 5개사의 지난달 판매 실적을 집계한 결과 지난달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6.5% 감소한 64만6236대로 집계됐다. 

지난달 르노삼성을 제외한 4개사의 판매실적이 감소했다. 이는 설 연휴가 끼어있어 근무일수가 줄어든데다 구매 비수기인 점이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대차는 총 35만9982대를 팔았으나 전년 동월대비 5.5% 감소했다. 기아차는 총 22만1669대가 판매돼 전달과 전년 동기대비 각각 12.3%, 8.7% 줄었다. 다만 내수 시장에서 쏘나타 하이브리드가 1154대가 팔려 자존심을 지켰다.

현대차 관계자는 "2월 설 연휴로 인한 근무일수 감소로 생산이 줄며 전체적으로 판매가 감소했다"면서 "올해 내수시장에서 신차를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주력 차종을 중심으로 판촉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쌍용차도 총 9724대를 팔았으나 판매량은 전달 대비 5.8% , 전년 동월 대비 17.6% 감소했다. 내수 판매 증가에도 조업일수 감소와 러시아 수출 물량 축소 영향으로 좋은 실적을 내지는 못했다. 내수 판매는 조업일수 축소에도 '티볼리' 판매 증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6000대를 넘어섰다.

한국지엠은 3만9381대를 팔았으나 전월대비 23.7%가 감소했다. 이 중 내수판매는 총 9163대로 전년 동월 대비 11.0% 감소했다. 이는 설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가 줄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준중형차 크루즈, 소형 SUV 트랙스, 중형차 말리부 및 경상용차 다마스·라보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상승세를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반면 르노삼성자동차는 1만 5630대를 팔아 전년 동월대비 102.5%나 판매가 성장했다. SM5노바와 SM3네오가 인기를 끌었고, 수출 전용 모델인 '로그' 등이 안정적 판매 성장을 견인했다. 

본격적인 결혼, 입사 등 새 출발 시즌을 앞두고 SM3네오가 1374대 판매돼 전달 대비 36.3% 늘어났다. 2월 수입 공급 물량이 줄었던 QM3는 3월부터 최고급 트림 QM3 시그니처가 추가 투입돼 프리미엄 소형 SUV 시장을 공략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병원비 대신 내주고 신생아 매수한 후 양육 과정서 학대한 30대 여성 징역형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병원비 28만원을 대신 내주고 신생아를 매수한 뒤 양육 과정에서 학대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30대 여성에게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징역형의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항소5-3부(이연경 부장판사)는 12일(아동복지법상 아동매매와 아동학대)혐의로 기소된 A(36·여)씨에게 1심과 같은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불임인 A씨는 조건 미달로 입양에 어려움을 겪던 중 2018년 1월 25일 인터넷에서 '신생아를 데려가 키우실 분을 구한다'는 글을 보고 B양 부모에게 연락해 병원비 28만8천원을 대신 내주고 매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A씨는 아동 매수 4년여 만인 지난 2022년 9월 인천 강화군 주거지에서 파리채와 리모컨으로 B양을 여러 차례 때리는 등 신체적 학대를 하기도 했다. 조사결과 A씨 부부는 B양을 매수한 뒤 출생 신고를 하지 않았고, 예방 접종을 비롯한 필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검찰은 A씨 부부가 B양의 기본적인 보호·양육과 치료·교육을 소홀히 하는 방임행위를 했다고 보고 이들에게 아동복지법상 아동유기·방임 혐의도 적용해 재판에 넘겼다. 그러나 1심과 항소심 재판부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