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청와대 폭파 협박범 귀국…父 “죄송 합니다”

URL복사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청와대와 대통령 자택 등을 폭파하겠다고 수차례 협박한 강모(22)씨가 27일 인천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강씨는 부친과 함께 이날 오후 3시50분께 프랑스 파리발 인천행 항공기 KE902편을 타고 귀국했다.

경기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착륙 15분여 뒤 계류장에 모습을 드러낸 강씨에 대해 곧바로 체포영장을 집행했다. 강씨는 검정색 캐주얼화에 초록색 면바지, 검정색 점퍼를 입고 챙이 있는 야구모자를 눌러쓴 모습이었다.

경찰들은 강씨 주변을 통제하고 점퍼에 달린 모자와 목도리 등으로 얼굴를 감쌌다.

강씨의 부친은 “아들과 깊은 대화를 하지 못했다”며“같은 내용의 대화를 반복하면 아들이 위축되는 등 데려오는게 더 힘들어 질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건강상 큰 문제는 없는 것 같다”면서 “강제소환이 된 것은 아닌 만큼 우선 한국으로 데려 오는게 목적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박근혜 대통령과 정의화 국회의장을 비롯해 국민들께 죄송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면서“경찰 조사결과에 따라 아들이 죄를 인정하고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달 13일 아들이 없어져 실종신고를 하고 걱정 속에 지내왔다”면서 “프랑스 현지에서도 길거리 등지를 전전하며 먹고 자고 한 것 같다. 이렇게라도 데리고 올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솔직한 심정을 전했다.

강씨는 지난 17일 자신의 트위터에 박근혜 대통령과 비서실장의 자택을 폭파하겠다는 글을 올린데 이어 25일 청와대 민원실 ARS에 다섯 차례 전화를 걸어 청와대를 폭파하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남긴 혐의(협박 등)를 받고 있다.

강씨의 부친은 정의화 국회의장실에 근무한 4급 보좌관으로 지난 23일 협박범이 친아들로 확인되자 사표를 냈다. 이후 프랑스로 출국해 아들의 자진 귀국을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