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올 추석연휴 교통사고 1771건…전년比 38% 감소

URL복사

부상(4682→2201명)·사망(77→37명) 각각 53%, 52% 감소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 길어진 연휴로 귀성, 귀경길이 분산되면서 올해 한가위 교통사고 발생 및 인명피해가 전년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는 1771건으로 전년(2850건)에 비해 38% 감소했고, 인명피해는 부상(4682명→2201명)·사망(77명→37명)이 각각 53%, 52%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11일 지난 5~10일 시행한 추석연휴 특별교통대책 성과를 발표했다. 

올해 추석 명절에는 당일 교통량이 전년 대비 2.8%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였으나, 주말·대체휴일 등 긴 추석연휴와 대중교통 수송력 증대 및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등으로 교통량이 분산돼 대체로 원활한 소통을 보였다.

시설물 안전점검 및 종사원 교육 ▲안전대책 적극 이행 ▲버스·열차 등 안전 홍보 동영상 방영 등의 노력이 사고 감소요인으로 분석됐다.

도로를 포함한 철도·항공·해운 등 대형 교통사고도 없었다.

국토부는 안전운전 캠페인, 교통안전 수단과 시설에 교통안전 홍보 동영상 방영, 전광판 및 버스 정보체계에 문자 표출, 교통상황을 방송으로 안내하는 등 적극적인 교통안전 홍보를 실시한 결과라고 했다.

다만 고속도로 사망자는 2명인데 비해 고속국도를 제외한 도로 사망자는 35명에 달했다. 국토부는 국도 등 교통사고 취약부문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과 교통안전 시설 확충을 위한 예산지원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추석연휴 6일간 총 이동인원은 3523만명으로 1일 평균 587만명이 이동한 것으로 집계됐다. 추석 당일(지난 8일) 사상 최대인 733만명(전년 729만명)이 이동했다.

이동 교통수단은 승용차가 84.4%로 가장 많았고, 버스 11.1%, 철도 3.5%, 항공기와 여객선이 각각 0.5%로 분석됐다. 

고속도로 교통량은 1일 평균 405만대이며, 추석 당일은 성묘·귀경 차량의 집중으로 인해 역대 최대인 516만대(전년 502만대)를 기록했다.

고속도로 최대 소요시간(톨게이트 기준)은 귀성(6일)의 경우 서울~부산 5시간20분, 서울~광주 4시간40분으로 전년 대비 모두 3시간45분이 감소했다. 반면, 귀경(추석당일·8일)의 경우 목포~서서울은 8시간40분으로 2시간 증가, 부산~서울은 8시간20분으로 40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말·대체휴일 등 긴 추석연휴와 양호한 기상상태, 첨단I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상습 지·정체 구간의 우회도로 지정 등의 정부합동 특별교통대책의 성과"로 분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