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세월호 사건 이후 ‘안전불감증’으로 전체 국민이 시달리고 있으나 정작 국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교통안전공단은 늘어나고 있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 차 사고에 대비한 긴급인명구조 매뉴얼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새누리당 이우현 의원(용인 갑)이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차량 및 전기차 등록 현황을 총 123,205대로 2012년(54,597대)보다 44%가 증가 하였으며, 보험개발원에서 제출 받은 최근 4년간 자동차 보험에 가입 된 현황을 보면 83,624대로 2011년(16,907대)보다 5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 4년간 보험에 가입한 차량 사고 현황은 총 47,042건으로 2011년 전(5,498건)보다 2014년 상반기 현재 실적(11,577건)만 보더라도 보아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이나 하반기를 감안 한다면 4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밝혀졌다.
고전압의 전류가 흐르는 이 차량들이 교통사고가 났을 경우 특별한 긴급매뉴얼에 따르지 않는다면 구조대원과 사고 당사자가 더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하여 인명구조대원도 “미국과 같은 긴급인명구조매뉴얼이 없어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사고 시 인명구조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변하여 긴급인명구조 매뉴얼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담담 기관인 교통안전공단에서는 이와 관련한 긴급인명구조 매뉴얼 조차 제작하여 상용화시키려는 노력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이 의원은 “하이브리드나 전기차의 사고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교통안전공단이 이들 차량에 대한 긴급인명구조매뉴얼 상용화 노력조차 없다”또한 “이와 관련하여 차량 제작사와 소방교육기관, 인명구조기관과 이 사항에 대하여 단 한차례의 회의나 상용화 시키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지적사항과 관련하여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그 시급성을 인식하고 국토교통부에 용역 결과만 보고하였을 뿐 지적하신대로 관련 기관과 회의를 한 적도 없으며, 아직 까지 제작 및 상용화하려는 노력도 한 적이 없어 의원님께는 송구스럽다”고 답변했다.
이 의원은 “지금 상황이라면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량의 등록 수는 계속 증가할 것이며 차량 사고도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교통안전공단은 미국처럼 긴급구조매뉴얼을 제작하고 구조기관에 보급함으로써 훈련 및 인명구조 시 매뉴얼을 활용하여 사상자를 줄일 수 있도록 조속히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량에 대한 긴급구조매뉴얼이 상용화가 되어 국민들의 안전을 지키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