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진사퇴했다. 이로 인해 차기 총리 후보자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로서는 차기 총리 인선에 이제 신중하게 됐다. 안대희 전 총리 후보자와 같이 전관예우가 없는 깨끗한 사람이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상적으로도 깨끗해야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총리 후보자 인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여당과 국민의 정서에 맞는 후보자를 찾기란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각에서는 문 후보자의 낙마가 결국 박 대통령 친정 체제로 가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제2기 내각을 구성하는데 있어 친정 체제를 강화했다. 여기에 총리 후보자 역시 자신과 뜻을 같이 하는 사람으로 앉힐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이유로 정치인 총리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3연속 총리 인선 실패라는 최악의 인사 참사를 피하기 위해서는 검증 통과가 가능한 인물이어야 하는데 그러자면 정치인 출신 총리 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니면 기존에 인사청문회를 통과한 인물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정치인 총리론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 이로 인해 거론되는 인물로 김문수 경기도지사, 강창희 전 국회의장, 이인제 새누리당 의원,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황우여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