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형수기자] 문창극 총리 지명자의 거취 문제를 놓고 정치권이 들썩이고 있다. 새누리당 전당대회는 물론 7월 재보선 더 나아가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와 새누리당 지도부는 일단 밀고 나아가자는 분위기다. 인사청문회 역시 강행하자는 분위기다.
하지만 문창극 불가론을 놓고도 여당 내부에서도 불만이 나오고 있다. 특히 7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전당대회 출마자들이 과연 어떤 행보를 취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가 됐다.
현재 상황으로 볼 때에는 인사청문회 보고서의 국회 본회의 처리가 7월 전당대회와 비슷한 시기에 맞물릴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된다면 인사청문회 보고서의 국회 본회의 처리를 놓고 전대 출마자들이 저마다 각자의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된다면 새누리당으로서는 큰 파장이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7월 재보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새누리당이 문 후보자를 계속 옹호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면 자칫하면 ‘친일 정당’으로 낙인 찍힐 수도 있다. 이는 7월 재보선에 막대한 영향이 될 가능성이 높다.
더 나아가 박 대통령의 지지율 변화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이미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답보 상태이다. 그런데 만약 인사청문회 보고서 채택이 되지 않거나 문 후보자가 중도 낙마를 하게 된다면 박 대통령은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