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北무인기, 소청·대청도 거쳐 백령도서 추락”

URL복사

軍 “소청도·대청도 사진 찍혀…연료부족 추락 추정”
“4행정 가솔린엔진·니콘 D800 탑재…파주보다 고성능”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가 북한에서 발진해 소청도와 대청도를 거쳐 백령도에 추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파주에 추락한 것보다 성능이 더 발전된 기종으로 분석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3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항공기 1차 조사결과 “백령도에 떨어진 무인기의 제원은 날개폭 2.46m, 길이 1.83m 무게 12.7㎏이었다”며 “기체구조는 육각형 폼포(유리섬유를 겹겹이 덧댄 것), 엔진은 4행정 가솔린이었고 비행조종은 이륙에 쓰기 위한 GPS 안테나 2개가 있었다. 발진 기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고 나머지는 조사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백령도 무인기는 파주 것과 비교해 기체나 엔진 등이 좀 더 발전된 기종으로 분석됐다. 장착된 카메라 역시 파주 무인기에 캐논 EOS 550D가 장착된 것과 달리 백령도 것에는 니콘 D800이었다"며 "임무장비는 근거리 원격 조종용 통신장치가 있는데 이는 리모트 컨트롤로 초기 이륙할 때만 사용하고 이후 GPS로 좌표를 입력해 조종하는 방식이다. 비행자료송수신기는 있었지만 실시간 영상전송 기능이 없는 메모리카드가 있었다. 회수형이라는 말이다"고 답했다.

무인기의 비행 고도에 대해서는“분석결과 평균 1.4㎞ 고도 일정하게 날았고 속도는 시속 100~120㎞였다. 북한쪽에서 출발해 소청도와 대청도를 거쳐 백령도에 와서 추락했다”며“특징은 소청도와 대청도를 스캔하듯 지그재그로 왔다 갔다 하며 사진을 촬영했다”고 말했다.

백령도에 추락하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연료 부족으로 인한 엔진 정지였고 낙하산이 있었지만 펴지지 않았다. (왕복 거리) 계산을 잘못한 것 같다. 수거해보니 남아있는 연료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이동 경로는 사진으로 파악했다. 백령도를 찍은 것은 없었고 소청도와 대청도를 찍은 것은 있다. 아직 사진 숫자 등은 확인하지 못했다. 현재 전자장비들은 분석 중에 있다”며 “대청도를 지나갈 때 시간은 (31일) 오후 2시47분이었고 벌컨포 발사 시각은 12시42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파주에 떨어진 무인항공기는 엔진 고장이 원인이었던 것으로 결론났다”며 “파주 인근 저고도 레이더는 헬기나 북한 수송기인 AN-2기를 잡는 것이라 소형 무인기는 잡히지 않는다. 추궁할 일이 아니라 장비를 보강해야 할 문제다. 무인기는 300m만 올라가도 보이지 않고 엔진소리도 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카메라에서 나온 사진의 시간을 조작할 수는 없다. 백령도 무인기는 에스자로 비행했고 파주 무인기는 일자로 한 방향으로 올라갔다 내려간 것이다”며 “북한 글씨 존재여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최종 체공시간 역시 백령도에 언제 떨어졌는지 알 수 없어서 확인이 안 된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