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리조트 붕괴 사고’ 유가족 “학교 측 사전답사 후 OT 취소했어야”

URL복사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들이 신입생 환영회를 하던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내 체육관이 붕괴돼 딸(故 김진솔)을 잃은 김판수(54)씨는 19일 “학교 측에서도 사전답사를 해서 눈이 그렇게 많이 오면 취소를 하고 다음으로 미뤄야 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눈이 그렇게 많이 오면 제설을 하고, 1000명의 학생들이 갔는데 무릎까지 빠지게 그대로 방치한 채 건물 안에 아이들이 500명씩이나 들어가고 참으로 안이한 대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학교 측의 안일한 대처도 비판했다. 그는“제가 보기에는 너무 안이한 대처를 했던 것 같다. ‘별일 없겠지’ 이런 너무 안이한 생각을 한 것 같다”며 “왜 강행을 했는지 제 입장에서는 납득이 안 가고 이해가 안 간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임시분향소도 하나도 없고, 어디로 가라는 안내도 없었다”며 “직원도 아무도 나와 있지 않고, 코오롱 측이든 학교 측이든 아무도 나와 있는 사람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씨는 또 채 피지도 못한 귀한 자식을 잃은 안타까운 심경을 토로했다.

그는“자식 가진 부모들이 똑같은 마음”이라며“이렇게 보내는 부모 마음이 어떻고, 이걸 말로 표현할 수 있냐”고 토로했다.

한편 지난 17일 오후 9시께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생들이 신입생 환영회를 하던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 내 체육관이 붕괴돼 대학생 9명을 포함해 10명은 사망하고 103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