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갑오년 타종행사…“2014년에는 좋은 일 많이 일어나길”

URL복사

[시사누스 김정호 기자] 60년 만에 찾아온 청마(靑馬·푸른 말)의 해인 갑오년(甲午年) 새해를 맞았다. 희망찬 새해를 여는 2014년 1월1일 오전 0시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렸다.

이날 서울 체감온도는 0도 안팎으로 비교적 포근한 날씨 속에서 새해맞이 행사가 이뤄졌다. 가족, 친구, 연인과 손을 잡은 시민 10만여 명(경찰 추산)이 모여 인산인해를 이룬 보신각 인근은 제 속도로 걷기조차 어려울 정도였다.

“5! 4! 3! 2! 1!”

한 목소리로 카운트다운을 외치며 새해를 맞이한 시민들은 오전 0시 정각이 되자 들뜬 표정으로 환호성을 질렀다. 붐비는 인파 속에서 밝은 표정을 짓지 않았던 사람들도 이 순간만큼은 활짝 웃어보였다.

2014년이 시작됐음을 알리는 제야의 종 타종식이 열렸고 모두 33차례의 보신각 종소리가 울려 퍼졌다. 이날 행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과 서울시 홍보대사인 배우 권해효(48)씨, FC서울 축구팀의 선수로 뛰고 있는 차두리(33) 선수, 핀란드 출신 막걸리집 주모 따루 살미넨(36·여), 서울시 무형문화재 옻칠장 기능 보유자 손대현(63) 장인 등 사회 각 분야 시민대표 11명이 참여했다.

타종이 진행되는 동안 시민들은 기다렸다는 듯 준비해 온 폭죽을 하늘로 쏘아올렸다. 시민들의 폭죽 세레모니는 밤하늘을 아름답게 수놓았다.

타종 행사를 보던 시민들이 일부 돌아간 뒤 한산해진 틈을 타 일부 시민들은 보신각을 배경으로 사진촬영을 하기도 했다. 연인들은 포옹하고 손가락으로 브이(V)자를 그리며 새해에도 사랑과 우정이 지속되길 기원했다.

여자친구와 함께 타종 행사를 보러 온 성진용(30)씨는 “보신각 타종 행사를 텔레비전으로만 보다가 직접 나오니 기분이 새롭다”며“새해에는 하는 일이 모두 잘 되고 여자친구와 더 사이좋게 지내면 좋겠다”는 소망을 밝혔다.

딸과 팔짱을 끼고 환하게 웃던 이유미(56·여)씨는 “가족과 타종 행사를 보러 나왔는데 생각보다 사람이 너무 많아서 깜짝 놀랐다”며 “새해에는 가족이 모두 건강하길 바라는 것이 가장 큰 소원이라고 말했다. 이날 보신각 앞에 마련된 특설무대에서는 타종행사와 함께 열린 가수들의 축하공연이 펼쳐졌다.

한편 경찰은 이날 시민의 안전과 원활한 행사 진행을 위해 67개 중대 4000여명의 경력을 배치하고 종로와 우정국로 등 2개 구간의 차량운행을 통제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서울시는 타종 행사를 보러 오는 인파가 몰릴 것으로 보고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막차 시간을 이날 오전 1~2시까지 연장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