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군산여성 살해사건, “경찰 자체감찰 기능 확대돼야”

URL복사

전국을 떠들썩하게 달궜던 군산여성 실종사건은 결국 경찰관의 내연녀 살인이라는 비참한 결과로 막을 내리면서 지역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경찰은 지난 2일 “군산경찰서 소속 정모(40) 경사가 내연녀 이모(39·여)씨와 임신 및 위자료 문제로 차량 안에서 다투다 격분한 정 경사가 이씨를 목졸라 살해하고 시체를 유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북지방경찰청은 3일 자로 부하 경찰관의 여성 살인사건 책임을 물어 군산경찰서장을 직위 해제했다. 또 경찰은 4일 내연녀를 살해한 뒤 시신을 유기한 혐의(살인·사체유기)로 정 경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소식을 접한 시민은 "민중의 지팡이가 이럴 수 있느냐, 충격적이다"면서 "이번 사건이 경찰관 개인의 도덕성 결여로 비롯됐다지만 잇따르는 경찰관의 일탈행위는 비난을 받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모(47·군산시)씨는 "경찰에서 자꾸 문제가 발생하면서 시민의 불신은 높아지고 있다"며 "조직 차원에서 강력하고 철저한 자정 분위기를 만들어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모(52·공무원)씨는 "상황이 어찌됐던 경찰관이 시민을 목졸라 살해하고 시체를 내동댕이 친 것은 용서 받지 못할 흉악한 범죄"라며 "경찰은 이번 사건을 거울삼아 똑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조직을 새롭게 재정비하고 자체감찰 기능을 확대하는 등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경찰 내부적으로도 해이해진 기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군산경찰서 A경사는 "시민의 신뢰가 갈수록 땅에 떨어지는 것 같아 우려스럽다. 동료 경찰관을 잡겠다고 몇 날 며칠을 헤매고 다녔다. 경찰 스스로 자정노력이 필요한 때인 것 같다. 관련자를 문책하고 국민께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이면 끝이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경찰관은 "현직 경찰관의 살인으로 판명됐다지만 어찌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이번 사건으로 어려운 여건에서 묵묵히 근무하는 많은 경찰관들의 사기가 저하되지는 않을 지 우려스럽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2009년 4월에도 군산경찰서 소속 조모 경위가 평소 알고 지내던 미장원 여주인의 머리에 권총을 쏜 뒤 자신의 머리에도 총을 쏴 함께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경찰조직을 곤경에 빠뜨렸다.

이 사건에 사용된 총기는 3.8구경 4인치 권총으로 공포탄 1발과 실탄 3발이 장전돼 있었고 조 경위는 사건 당시 공포탄을 포함 4발 모두를 발사했다. 실탄 2발이 이들의 머리를 관통했고 나머지 한 발은 빗나가 창문틀에 박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