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서울나우병원, 충북제천서 의료봉사활동 실시

URL복사

서울소재 한 병원이 충북 제천 주민들을 대상으로 의료봉사활동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10일 서울나우병원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충북 제천에서 강형욱, 원영일 원장을 포함해 총 10명이 의료진이 참석한 가운데 약 8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봉사활동을 전개했다.

이곳은 척추관절 진료 의료기관으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의료 선교활동을 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2010년 6월 자체 개발한 한국형인광괄절 ‘b.r.q knee’(디자인 출원, 제 2009-0013419호)의 첫 수술을 시작으로 2000회를 수술을 돌파하며 관심을 끌기도 했다.

서울나우병원 관계자는 “소외지역에서는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의료진을 손길을 필요로 한다”면서 “나눔과 섬김의 자세로 앞으로도 의료봉사를 더욱 확대,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곳은 개원 후 의료사고가 한 번도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병원 관계자는 “비결은 의료진의 활발한 의견 교류에 있다”며 “매주 한번 진행되는 케이스 스터디에서 환자사례를 중심으로 열띤 토론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으로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환자 꼬리표 제도도 시행하고 있다”며 “환자의 정보를 팔찌처럼 채우는 꼬리표에 환자이름, 나이, 수술명, 수술부위 등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증상에 따른 단계적 치료법도 의료사고를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비수술요법을 원칙으로 치료하고 있으며, 수술치료가 불가피할 경우에는 여러 전문의들의 면밀한 진단을 거치는 것이 원칙”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