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김병진 대림산업 前회장 페이퍼컴퍼니 설립[종합]

URL복사

뉴스타파 “효성그룹 계열사 2대 주주 등 페이퍼컴퍼니 설립”…9차 명단공개

비영리 독립언론 '뉴스타파'가 27일 조세피난처에 페이퍼컴퍼니(서류상 기업)를 설립한 한국인 9차 명단을 공개했다.

뉴스타파는 이날 오후 3시 인터넷 홈페이지 등을 통해 김병진 전 대림산업 회장과 배전갑 전 대림엔지니어링 상무 등이 대림에서 퇴직한 이후 2001년 벤체기업 '컨스트넷'을 운영하면서 2003년 9월30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컴퍼니를 세웠다고 밝혔다.

또 효성그룹 계열사 '더 클래스 효성'의 2대 주주인 김재훈씨는 2007년 10월8일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페이퍼 컴퍼니를 세운 것을 확인했다. 이후 김씨는 효성그룹 계열사인 '더 클래스 효성'의 2대 주주가 됐다고 뉴스타파는 설명했다.

뉴스타파에 따르면 김 전 회장과 배 전 상무 등은 페이퍼컴퍼니 설립 대행업체인 'UBS AG 싱가포르'를 통해 'CHEMBUILT INTERNATIONAL'이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했다.

배 전 상무는 뉴스타파 취재진에게 "2000년대 초반, 인도네시아에서 투자 사업을 하면서 페이퍼 컴퍼니를 만들었지만 이후 사업이 제대로 되지 않아 더 이상 페이퍼 컴퍼니를 활용하지 않았다"며 "탈세 등의 불법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대림산업은 "대림산업과 무관한 일"이라며 "김 전 회장은 1999년에 퇴직했고, 페이퍼컴퍼니는 2003년 설립됐는데 퇴직 후 개인적으로 했는지 알 수 없고 파악할 사항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더 클래스 효성의 2대 주주인 김씨는 페이퍼컴퍼니 설립 대행업체인 '골드만삭스 싱가포르 지점'을 통해 'D-Best Investments Group'이라는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했다.

김씨가 유일한 이사로 있는 디베스트 파트너스라는 법인이 유상증자에 참여해 약 23억원을 납부하고 더 클래스 효성의 지분 31.54%를 취득했다. 현재 더 클래스 효성은 ㈜효성이 58.02%, ㈜디베스트 파트너스가 31.54%, 조현준, 조현문, 조현상이 각각 3.48%의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고 뉴스타파 측은 전했다.

김씨는 페이퍼컴퍼니 설립 후 두 달 뒤인 2007년 12월27일 더 클래스 효성에 유상증자를 참여하는 방식으로 지분 34.15%를 취득해 2대 주주가 된다. 이 투자 자금은 23억원 가량이었는데 김씨가 유일한 이사로 있는 디베스트 파트너스라는 국내 법인이 유상증자에 참여했다고 뉴스타파 측은 설명했다.

뉴스타파는 이 과정에서 김씨가 일반투자자는 상상하기 어려운 파격적인 조건으로 지분참여를 했다는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디베스트 파트너스는 더 클래스 효성의 우선주 31.45%를 취득하면서 상환을 요구할 경우 2개월 이내에 투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를 받았다. 특히 당시 시중 대출금리보다 높은 9%의 높은 이자까지 받을 수 있게 계약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스타파는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도 있게 했다"며 "당시 더 클래스 효성의 재무상황이 비교적 안정적이었기 때문에 이 같은 투자 조건은 특혜로 볼 수 있다는 게 관련 회계사들의 지적"이라고 전했다.

효성 측과 김씨는 국내 한 법무법인에 의해 적법하게 진행된 투자였고, 당시 벤처 투자 관행으로 볼 때 특혜로 봐서는 안 된다"고 해명했다고 뉴스타파는 밝혔다.

김씨는 뉴스타파에 "해외사업을 위해 골드만삭스 싱가포르 지점에 페이퍼 컴퍼니 명의에 계좌를 만들어 자금을 운영했다고 밝혔지만 이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국내로 자금을 들어온 사실이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효성 측은 "김씨가 만든 조세피난처 페이퍼 컴퍼니와 더 클래스 효성의 투자 과정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전했다.

한편 뉴스타파는 조세피난처에 페이퍼컴퍼니를 만든 한국인 명단을 홈페이지에 공개한 이후 지금까지 90여 건의 제보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도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지 못한 인물에 대해 시민들이 제보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가 취재를 통해 확인한 것으로, 앞으로도 시민이 참여하는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 프로젝트를 활용해 명단을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뉴스타파는 그동안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가 진행하는 '조세피난처 프로젝트'의 한국 파트너로 참여해 공동취재를 해왔다.

한국인 명단은 조세피난처에 페이퍼컴퍼니 설립을 대행해주는 '포트컬리스 트러스트 넷(PTN)'과 '커먼웰스 트러스트(CTL)' 내부 자료에 담긴 13만여 명의 고객 명단과 12만2000여개의 페이퍼컴퍼니에 대한 정보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