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경제

금융연맹 "삼성생명 차명주식, 원주인인 계약자에게게 돌려줘라"

URL복사

이건희 회장이 소유한 삼성생명 차명주식에 대해 삼성이 원래 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융소비자연맹과 삼성생명 유배당계약자공동대책위원회는 고 이병철 회장의 삼성생명 차명주식 978만주를  이건희 회장이 자기 것으로 돌려놓고 삼성생명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재벌가 자식들이 서로 차지하겠다며 상속분쟁을 벌이고 있는 것을 즉각 중단하고 원래 주인인 계약자에게 배당으로 전부 돌려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2일 밝혔다.
삼성생명 차명주식수는 모두 978만1200주(2010년 주식분할 이전 기준으로 차명주식수 968만7600주와 이종기 전 삼성화재 회장 차명후 삼성생명공익재단으로 이전된 9만3600주 포함)로, 98년 말 차명주식 644만2800주가 실명 전환돼, 이건희 회장이 299만5200주, 삼성에버랜드가 344만7600주를 매입했다. 이건희 회장은 350만주를 삼성자동차 채권금융기관 손실보전을 위해 출연했고, 지난 2008년 말 삼성특검 수사결과 발표 직후 이 회장은 324만4800주를 실명 전환했다.
금융소비자연맹은 "삼성생명이 2010년 상장을 하면서 회사 성장 발전 및 이익 형성에 기여한 계약자에게 한 푼의 배당 없이 상장시켜 22조원의 이익을 전부 독식했다"며 "이에 유배당 계약자들의 당연한 몫인 미지급 배당금을 찾기 위해 2010년 2월 2,802명이 배당금지급을 요구하는 공동소송을 고등법원에 제기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또 "삼성생명의 자산 형성에 이건희 재벌가 자식들이 기여한 것이 거의 없고, 삼성생명의 주인은 계약자들인데 아무 것도 기여한 바가 없는 재벌가 자식들이 서로 자기 것이라고 싸우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 ‘코미디’ "라고 꼬집고 "삼성그룹이 진정으로 기업의 양심이 있고, 세계적 기업으로 발전하기를 원한다면 이 차명주식을 전부 매각하여 원래 주인인 계약자들에게 배당으로 돌려줘야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삼성생명 유배당계약자공동대책위의 정성일 위원장은 “삼성생명의 자산형성에 기여한 바가 전혀 없는 재벌가 자식들이 이병철 회장이 숨겨 놓았던 차명주식을 서로 자기 것이라고 소송을 하는 것은 선량한 계약자 자산을 강탈해가 서로 차지하겠다고 싸우는 것으로 마치 ‘도둑질한 장물을 서로 차지하겠다고 싸움을 벌이는 도적떼’들과 같은 꼴로, 지금이라도 당장 원래 주인인 계약자들에게 돌려 줘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