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9.2℃
  • 구름조금강릉 10.6℃
  • 맑음서울 12.7℃
  • 맑음대전 10.6℃
  • 맑음대구 12.7℃
  • 구름조금울산 13.9℃
  • 맑음광주 14.0℃
  • 맑음부산 15.5℃
  • 맑음고창 12.2℃
  • 맑음제주 17.1℃
  • 맑음강화 8.9℃
  • 구름조금보은 8.7℃
  • 구름조금금산 9.3℃
  • 맑음강진군 11.2℃
  • 맑음경주시 11.4℃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문화

초조대장경 국보,보물을 한자리에서 본다

URL복사

‘천 년의 기록, 내일을 열다’초조대장경 특별전
오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문화재청 발족 50주년과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판각이 시작된 지 천년을 기념하기 위해 오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34일 동안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천 년의 기록, 내일을 열다’란 주제로 특별전시회를 개최한다.

초조대장경은 1011년(고려 현종2)에 거란의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판각한 국내 최초의 목판대장경으로 중국 북송때 만들어진 개보칙판(開寶勅版) 대장경(971-977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만들어진 한역 대장경이다. 아울러 세계기록유산인 해인사 소장 재조대장경의 근간이 되는 역사적․민족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리 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이다.

초조대장경을 조성하기 시작한 지 천년이 되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기 위하여 준비한 ‘천 년의 기록, 내일을 열다’ 초조대장경 특별전에는 천 년을 이어온 우리의 우수한 기록문화유산이자 귀중한 불교문화유산인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 중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대장경이 대거 출품되어 국가지정문화재인 대장경을 한 자리에서 살필 수 있도록 했다.

국보 제243호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初雕本 顯揚聖敎論 卷十一) ’, 국보 제266호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5(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七十五)’ 그리고 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등을 비롯하여 국보 19점, 보물 13점 등 총 51점의 대장경 관련 유물이 공개된다.

특히 이번에 서울에서 전시되는 해인사 대장경판은 이번 전시를 끝으로 더 이상 일반에 공개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팔만대장경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국가지정문화재인 대장경을 중심으로 초조대장경의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우리 기록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주력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진보당, 2026년도 예산안 심의에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국회의 ‘2026년도 예산안’ 심의가 시작된 가운데 진보당이 미국과의 안보·관세 협상으로 ‘미국 퍼주기’ 예산이 편성되는 것을 철저히 막을 것임을 밝혔다. 진보당 전종덕 의원은 5일 국회에서 예산안 관련 기자회견을 해 “안보·관세 협상이 ‘미국 퍼주기 예산’이 되지 않도록 국회가 검증하겠다”며 “정부는 미국의 압력에 따라 국방비 인상과 무기 도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무리한 국방비 인상은 민생경제와 서민복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국방비 증가가 이재명 정부가 말하는 ‘자주국방’일 수 없다”며 “그 시작은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종덕 의원은 “현재 방위비분담금 미집행금이 2조원이 넘는다. 신규 예산 편성은 필요 없다. 동북아시아 긴장을 높이는 F-35A 추가 도입도 철저히 검증하겠다”며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한 재정지출은 국민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회에서 제대로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적폐 예산을 과감히 정리하겠다”며 “매년 반복되는 이북5도지사 예산, 되살아난 검찰 특수활동비, 극우와 내란옹호단체로 전락한 관변단체 보조금 예산도 철저히 검증하고 삭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