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고양 전국체전 D-100일, 대회 준비 ‘순항’

URL복사

제92회 전국체육대회가 100일 앞으로 다가왔다. 경기도는 제92회 전국체육대회를 역대 어느 대회보다 가장 기억에 남고 인상적이며 감동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스포츠 문화예술 제전으로 치른다는 목표 아래 경기장 등 제반시설 정비와 대회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오는 10월6일부터 12일까지 일 주일 동안 주개최지 고양시를 포함한 경기도 20개 시·군 65개 경기장에서 열전에 돌입할 제92회 전국체육대회는 45개 경기종목에 전국 16개 시·도 및 해외동포 선수단과 임원진 2만8000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이번 대회를 위해 지난해 3월 전국체전추진기획단을 설치했고, 대회조직위원회 산하에 집행위원회와 시·군 운영위원회를 가동 중이다. 그리고 제92회 대회 상징물로 ‘꿈을 안고 경기로! 손을 잡고 세계로!’란 구호를 정하고, 엠블럼과 ‘꿈이 손이’ 마스코트를 만들었으며,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 운영하고 있다.

이번 대회에 소요될 비용은 총 1881억원(국비 325억원, 도비 342억원, 시·군비 1214억원)이며, 비용내역은 개폐회식 비용 등 대회 운영 경비 183억원, 경기장 신설 1429억원, 노후 경기장 개·보수 269억원이다. 한편 대회 유치가 도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경기개발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 효과가 5076억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2955억원, 고용창출 효과도 1만563명의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