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삼성전자, 세계가 내 손안에

URL복사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우뚝섰다. 국내 소비가 전반적인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대형 TFT-LCD와 반도체, 휴대폰 대형TV부문에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대형 TFT-LCD의 경우 1995년 10만개를 생산한 이후 상반기 누적생산분이 1억대에 달한다. 반도체는 연중 24시간 무휴로 생산라인을 풀가동할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휴대폰은 노키아와 모토롤라 등 세계 최대의 기업과 함께 3대업체로 등극했다.

TV부문도 대형화 추세에 맞춰 속속 신제품을 개발해 미국내 최고의 제품으로 인정받았다.

TFT-LCD 1억대 판매
삼성전자가 대형 TFT-LCD 부문에서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998년 이후 노트북용 LCD시장에서 7년연속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은 모니터와 TV용 LCD도 생산량을 늘려 대형 TFT-LCD부문 세계 선두권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지난 1995년 국내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시장에 진출한 삼성은 첫해 10만개를 생산한데 이어 1997년 100만개, 1999년 500만개를 넘어섰다. 특히, 2003년 5,000만개를 달성한데 이어 지난 5월 생산량이 1억개를 넘어서며 세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대형 TFT-LCD의 생산량 급증은 전세계 모니터와 노트북 TV 등에서 삼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삼성은 대형 TFT-LCD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고객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물량을 높여 이 부문의 선두를 유지할 계획이다.

삼성이 TFT-LCD 부문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이는 것은 지속적인 신상품 개발이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삼성은 지난 5월20일 당시 세계 최대인 40인치 TV용 능동형(AM) OLED를 개발했고, 이로 인해 8월16일 유럽 최고 권위의 영상음향 가전상인 ‘EISA(유럽영상음향협회상) 어워드’를 3개 부문에서 2년 연속 수상했다.

 EISA 어워드는 유럽 20여 개국, 50여 개의 전문지 대표들이 연합체를 구성해 오디오·비디오·홈시어터·포토·모바일 등 5개 분야에 걸쳐 부문별 최고 제품을 선정하는 권위의 상이다. 수상 제품은 유럽 판매 제품에 1년간 ‘EISA’마크를 부착해 품질, 제품력, 브랜드가치 등을 보장받게 된다.

D램·메모리분야·S램 트리플 크라운
10년 이상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반도체는 지난 1974년 한국반도체를 인수해 미래 발전성을 보고 10년이라는 긴 기간동안 투자와 개발이 이뤄진 분야로 삼성의 핵심사업으로 꼽인다. 1983년 11월 64KD랩을 개발한 삼성은 과감한 투자가 이어지면서 1992년 세계 D램 시장 1위, 1993년 메모리분야 세계 1위에 이어 1995년 S램 세계 1위까지 올라섰다. 삼성은 반도체 분야에서 스리플 크라운을 차지한 것에 그치지 않고 1994년에는 세계최초로 256MD램을 개발하면서 생산에 이은 기술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딩기업으로 부상했다.

플레시 메모리 분야에서도 삼성의 독주는 계속되고 있다. 1999년 256M NAND 플레시 제품을 시작으로 매년 2배씩 제품의 집적도를 증가시켜 출시해 2004년 9월 세계 최초로 첨단 60나노 공정을 적용한 제품개발에 성공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는 D램 13년 메모리 12년 S램 10년 연속 세계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삼성은 1983년 신흥시장 건설시 설계와 공사를 병행 당초 1년 반이 걸릴 것이라는 공기를 6개월만에 완공하면서 제품생산 기간을 2년여 가량 단축했다. 경기침체기였던 지난 1990년과 1991년에도 투자를 계속해 생산능력을 확보한 것이 오늘날의 성장에 밑거름이 된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경우 “경기 침체기에도 과감하고 절묘한 투자를 계속해 세계 최대 생산능력을 확보했다”면서 “이를 통해 확보한 세계 시장 지배력을 기초로 선발업체를 추월하고 후발업체의 추격을 따돌렸다”고 평가하고 있다.

휴대폰 신흥시장은 ‘Any Call’시대
2000년 이후 보편화된 휴대폰 부문의 약진은 삼성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모습을 확실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유럽과 미국 등이 이미 포화상태인 상황에서 신흥시장에서의 약진이 눈에 띤다.<그림1>

삼성 휴대폰은 올 상반기 대표적인 신흥시장인 러시아와 중국 아프리카 등에서 세계 1, 2위 업체인 노키아와 모토롤라를 따돌리며 선두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러시아의 휴대폰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MRG(Mobile Research Group)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 2분기 총 180만6,000대의 휴대폰을 판매해 25.28%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에서도 프리미엄 휴대폰 시장 점유율이 34%에 달한다. 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신흥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매년 두배 이상의 매출·판매 대수 성장을 거듭하며 폭발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신흥시장 외에도 휴대폰 선진국인 유럽에서의 인기도 급상승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가 발표한 ‘2005년 1분기 지역별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서유럽, 중동부 유럽, 아시아 태평양, 중동 아프리카 등 4개 지역에서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휴대폰 세계 시장이 지난해 이후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지만, 첨단 기술력과 명품 디자인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을 꾸준히 내놓은 것이 세계시장에서의 상승세를 가져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TV, 디자인·고화질·브랜드 등 3박자 갖춰
전통적인 전자제품으로 평가받는 TV는 디자인·고화질·브랜드에 대한 3박자를 갖추면서 세계 최고의 제품이라는 찬사가 이어지고 있다.

올 초 미국 소비자 전문잡지인 ‘컨슈머 리포트’ 3월호 삼성의 DLP TV가 고급형 프로섹션 부분 최고 제품으로 평가한 이후 호평이 끊이지 않고 있다. 컨슈머 리포트는 DLP 프로섹션 TV(한국 모델명 : SVP-50L7HD)가 수식형 로켓 엔진을 탑재한 것으로 벽걸이 TV와 같이 슬림하고 세련된 디자인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어 4월에는 세계적인 IT·디지털제품 관련 전문사이트인 ‘톰스하드웨어(www.tomshardware.com)’가 실시한 LCD TV 평가에서 삼성의 26인치 LCD TV 'LT-P266W'가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또 32인치 LCD TV는 프랑스의 AV 전문지 ‘DVD 매니아’로부터 우수한 성능 사용자 편의성 디자인의 우수성을 높이 평가 받아 ‘Editor's Choice’로 선정됐고, 영국의 AV 권위지인 ‘What Video and Widescreen TV’에서 별 4개를 획득하는 등 제품력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평가가 이어지면서 호주, 이탈리아 스페인 등에서 고객이 가장 선호하는 제품으로 우뚝 섰다.

8월4일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NPD(National Purchase Diary)에서도 32인치 LCD TV(모델명: LNR328W)와 32인치 슬림TV(모델명: TXR3079WH)는 각각 출시 3개월, 2개월만에 부문별 최다판매 제품에 올랐다.

이 같은 평가는 단순히 제품의 크기가 아닌 컬러수와 명암비 고객의 편리성까지 평가한 것으로 화질에 대한 기술력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호산대, 상주곶감유통센터와 로컬맞춤형 R&D 협약 체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는 지난 15일 상주곶감유통센터 회의실에서 상주곶감유통센터와 경상북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대학자율 로컬맞춤형 R&D 과제’ 수행 시 지산학 연구개발 및 지역연계발전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김재현 호산대 총장, 남현주 입학학생처장, 류현지 뷰티스마트케어과 교수, 홍재민 기획팀장, 상주곶감유통센터 황성연 센터장 외 1명, 상주시청 김국래 산림녹지과장 외 2명,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상주곶감연구소 임양숙 소장 외 1명을 비롯하여 총 11명이 참석하였다. 호산대학교에서는 지난해 12월 버려지는 감껍질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Quercetin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이를 대표성분으로 하여 마스크팩을 개발하고 임상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하여 감껍질 추출물을 활용한 마스크팩의 우수한 효과를 입증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양 기관은 대학 주도 지역문제 해결형 산학 공동연구 및 기술개발, 기술이전 · 시제품 제작 · 특허등록 · 지역기업 연계 등 성과 도출, 연구성과의 민간 확산을 촉진하여 지역혁신 생태계 활성화, 기타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사업 추진에 대하여 상호 협력 했다.

문화

더보기
철학적 뿌리부터 정책 실행까지 ‘이재명의 실용주의’ 본격 분석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출판사가 이념보다는 실용, 싸움보다는 해법을 지향하는 ‘이재명 실용주의’를 철학적 뿌리부터 실제 정책 실행까지 입체적으로 분석한 ‘이재명의 따뜻한 실용주의’를 펴냈다. 2024년 12월 이후 이념의 대립과 정쟁으로 극도의 피로감이 누적된 한국 정치의 현실 앞에 국민은 더 이상 구호가 아닌 성과를, 선동이 아닌 해법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대정신과 국민의 선택이 만나 2025년 6월 국민주권정부가 탄생했다.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의 정책 노선으로 실용주의를 표방했다. 그는 우리 역사에서 실용주의 노선을 분명하고 본격적으로 표방한 최초의 정치 지도자다. 신간 ‘이재명의 따뜻한 실용주의’는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 철학과 실천을 종합적으로 다룬 최초의 책이다. 국민주권행동 총괄운영위원장 김태철 소장과 사무총장 황산 박사가 이재명 대통령과 활동해 오면서 현장에서 호흡하며 정책을 함께 고민한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했다. 기존의 단편적인 언론 보도나 어록을 넘어 이재명 실용주의의 철학적 기반, 정책 방향, 리더십 특징을 아우르는 입체적 분석을 통해 추출한 실천적인 통찰을 담았다. 지금 한국 사회의 갈등 지수는 OE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