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대구선명학교, 스승의 날 감동 행사 ‘스승 찾아뵙기’ 진행...뜻깊은 시간 가져

URL복사

 

[시사뉴스 강영진 기자] 대구선명학교(교장 이천우)에서는 5월 15일 제42회 스승의 날을 맞아 초등학교 과정 1학년 입학생들이 입학 전 다니던 어린이집 원장 선생님과 담임 선생님을 만나 학교로 입학 후 3개월간의 성장 모습을 보여드리고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스승 찾아뵙기’ 행사를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

 

학생들은 그동안 수업 및 다양한 교과 활동 시간을 통해 직접 만들고 쓴 감사 카드와 카네이션을 준비했고, 기관에 방문해 어린이집 원장 선생님들과 그동안 함께 가르쳐 주셨던 담임 선생님들을 직접 만나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고 카드를 전하며 함께 사진으로 남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A 어린이집 원장은 “매년 잊지 않고 아이들과 또 교장 선생님과 함께 이렇게 방문해 주시고 아이들 얼굴을 볼 수 있게 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린다. 3개월 남짓의 시간이지만 제법 성장한 아이들의 모습을 보며 더 보람도 느끼고 뿌듯한 마음을 가지게 된다. 항상 학교와 이렇게 좋은 유대 관계를 맺고 학생들의 지도에 서로 연계해 좋은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길 바란다.”라며 학생들과 학교에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B 어린이집 원장은 “우리 학생들이 졸업해서 학교라는 곳에 입학하면 어떤 프로그램, 어떤 수업을 하는지 궁금하고 미취학 아동들의 학부모님들이 학교생활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점이 많은데 충분한 안내와 상담을 해드릴 수 없어 아쉬웠다. 원의 선생님들과 대구선명학교에 직접 방문해서 학교에 대해 알아볼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우리 학교와 특수교육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셨다.

 

학생들을 그냥 원생이 아닌 한 아이로서 자녀처럼 생각하며 졸업 후 학생들의 생활과 성장에도 꾸준한 관심을 두는 모습이 감사하고 인상적이었다.

 

대구선명학교 이천우 교장은 “취학 전 우리 학생들을 어렸을 때부터 지도해주시고 사랑과 정성으로 돌보아주심에 감사했고 직접 현장에 나와 보니 그 마음을 더 가까이서 느낄 수 있어서 좋았던 시간이었다. 누구든지 우리 학교와 특수교육 현장에 대해 궁금한 것과 관심이 있으면 언제든 상담과 방문을 환영한다.”라고 학교에서도 적극적인 상담과 안내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2~3개월이라는 시간이 지난 뒤 졸업했던 원에 방문한 아이들이 조금은 낯설고 어색해도 했지만, 곧 적응하고 예전의 선생님께 찾아가 애정을 표현하는 모습에서 아이들에 대한 사랑과 선생님들의 노력이 헛되지 않았음을 느끼며 또 하나의 소중한 추억과 기억으로 남을 수 있었던 좋은 시간이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