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금리인하 기대감에 채건 인기…올해에만 4조 유입

URL복사

만기매칭형 투자 급증…순자산 2조 늘어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올해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성장세가 지속된 가운데 개인들의 선택은 채권이었다.

 

연초 이후 4조원의 자금이 유입됐으며 장기·만기매칭형 채권이 높은 인기를 끌었다. 이자 지급에 기준금리 인하시 추가 수익이 난다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풀이된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채권형 ETF 설정액은 17조3706억원(지난 21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말(13조2681억원) 대비 4조1025억원(30.92%) 증가한 수준이다.

채권형 ETF의 설정액은 5년전 까지만 해도 5조원에 불과했으며 지난 2021년말 기준 약 8조7000억원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4조4900억원이 유입됐고, 올해는 불과 4개월반만에 비슷한 자금이 몰렸다. 이를 감안하면 약 1년 5개월만에 8조5000억원이 들어온 셈이다.

이는 채권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진 영향이다. 실리콘밸리뱅크(SVB)의 파산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의 채권 금리가 요동쳤다. 이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채권 ETF의 매력이 올라간 것이다.

채권형 ETF는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이 올라 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상품에 편입된 채권에서 나오는 이자에 가격이 오른 채권 매각으로 차익실현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만기매칭형 ETF의 인기가 높게 나타났다. 국내 상장된 만기매칭형 채권 ETF의 순자산총액은 약 3조65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말 대비 약 2조원 늘어난 수준이다.


만기매칭형 채권 ETF의 인기는 만기가 도래하면 청산된다는 점이다. 투자자들이 만기까지 만기매칭형 채권 ETF를 보유할 경우, 시장금리 변동과 상관없이 ETF를 매수한 가격과 해당하는 만기수익률(YTM)을 얻을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만기매칭형 ETF의 첫 상장이 지난해 11월이었다는 점이다. 특히 'KODEX 23-12 은행채(AA+이상)액티브', 'KBSTAR 23-11 회사채(AA-이상)액티브', 'TIGER 24-10 회사채(A+이상)액티브' 등은 세 ETF는 약 6개월만에 순자산이 5000억원을 초과했다.

최근에는 현재 금리가 높은 장기 채권 ETF가 인기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월1일 상장한 'TIGER 국고채30년스트립액티브'는 상장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407억원 가량 순매수했다. 이는 장기 국채 ETF 가운데 가장 큰 규모다.

채권형 ETF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개인연금(IRP) 등을 통해 거래시 인출 시점까지 과세가 이연되고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다는 강점도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현재 금리 수준이 과거에 비해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이라며 "향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채권형 ETF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연휴 엿새째 서울 방향 정체 집중…부산→서울 8시간20분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추석 연휴 엿새째이자 대체공휴일인 8일은 귀경·나들이 차량이 몰리면서 서울 방향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날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546만대로,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동하는 차량은 33만대,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32만대로 각각 집계됐다. 서울 방향은 오전 7~8시 정체가 시작돼 오후 5~6시 절정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다음 날 오전 1~2시 정체가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 방향은 오전 9~10시부터 막히기 시작해 낮 12시와 오후 1시 사이 가장 혼잡하고 오후 7~8시 정체가 해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서울 방향 오후 5시께 가장 혼잡할 것으로 전망되며, 영동고속도로와 서해고속도로가 가장 붐비겠다. 오전 9시15분 기준 경부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북천안부근~북천안 1㎞ 구간에서 막히고 있다. 부산 방향은 망향휴게소부근~천안부근 3㎞ 구간이 정체다. 서울양양고속도로는 양양 방향 ▲강일~남양주요금소 7㎞ ▲화도분기점부근~서종부근 2㎞에서 차량 행렬이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는 서울 방향 군산~통서천분기점 7㎞에서 차량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전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