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주군, 거주불명등록 기초연금 수급대상자 발굴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이 거주지가 불분명한 사람도 기초연금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거주불명등록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 발굴을 위한 실태조사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가정 불화, 채무 문제, 가족과의 연락 두절로 소재 파악과 접촉이 어려워 기초연금 등 복지제도 안내를 받지 못한 어르신들에게 복지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된다.

 

조사 기간은 다음달 12일까지며,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현장조사로 이뤄진다.

 

대상자는 2018년 1월 1일부터 올해 9월 30일까지 최근 5년 이내 등록된 지역 내 만 65세 이상 거주불명등록자 중 기초연금 미수급자다.

 

조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최근 거주불명자로 등록된 자를 우선 조사한다. 거주불명등록기간이 5년을 경과하더라도 연락처가 있거나 소재 파악이 가능하다면 조사 대상에 포함된다.

 

군은 실태조사 후 내년 2월께 조사 결과를 분석해 기초연금 신청과 수급 여부 등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울주군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로 더 많은 어르신이 기초연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Ulju-gun, Ulsan-si, announced on the 17th that it will conduct a survey to find recipients of basic pension registration so that those with unclear residence can enjoy basic pension benefits.

 

The survey will be carried out to provide welfare benefits to senior citizens who have not been guided by the welfare system, including basic pensions, due to difficulties in identifying and contacting families due to family discord, debt problems, and loss of contact with their families.

 

The investigation period is until the 12th of next month, and it will be conducted as an on-site investigation in compliance with the COVID-19 quarantine rules.

 

Those eligible are those who are not eligible for basic pension among those who are 65 years of age or older registered within the last five years from January 1, 2018 to September 30 this yea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investigation, those who have recently been registered as uninhabited are first investigated. Even if the registration period of unidentified residence has passed five years, it will be included in the investigation if there is a contact information or location can be identified.

 

After the survey, the county plan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February next year and make a final decision on whether to apply for basic pension and receive it.

 

An official from Ulju-gun said, "We will do our best to help more senior citizens receive basic pension support through this survey."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