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17.2℃
  • 구름조금강릉 18.7℃
  • 구름조금서울 17.4℃
  • 구름조금대전 17.9℃
  • 맑음대구 18.3℃
  • 맑음울산 19.4℃
  • 맑음광주 20.1℃
  • 맑음부산 21.8℃
  • 구름조금고창 18.4℃
  • 맑음제주 21.5℃
  • 구름조금강화 16.9℃
  • 맑음보은 17.5℃
  • 맑음금산 17.5℃
  • 맑음강진군 21.4℃
  • 맑음경주시 19.5℃
  • 맑음거제 19.0℃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대구시 동구청, 브랜드 및 포장디자인 개발지원 완료보고회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강영진 기자] 대구 동구청(구청장 윤석준)은 지난 8일, ‘식품제조업체 브랜드 및 포장디자인 개발지원’ 용역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올해 처음 추진한 이 사업은 시각적인 부분을 중요시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고,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이 있는 동구 식품제조업체들의 제품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추진됐다.

 

올해 3월 모집공고를 통해 10개 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이후 참여업체를 방문하여 업체별로 사전진단 등의 과정을 거쳐 획일화된 디자인이 아니라 업체별 요구사항이 반영된 맞춤형 디자인 개발로 10월 최종 디자인을 확정했다.

 

참여 업체들의 반응도 좋았다. 한 참여업체 대표자는 “기업의 고유한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브랜드를 개발하고, 요구사항에 대한 빠른 피드백 과정을 통해 다른 업체와는 차별화된 결과물에 만족도가 높았다”고 했다.

 

 

동구청에서는 식품제조업체 대상으로 올해 포장디자인 개발 지원 사업 외에도 우수제품 품질인증제 사업, 홍보관 운영 및 특별판매전을 추진하였으며, 내년에는 라이브커머스 방송 지원 등 식품제조업체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윤석준 동구청장은 “이번 완료보고회를 통해서 식품제조업체들이 제품의 가치를 인정받고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높여 식품산업을 활성화 하고자 하며, 동구의 식품산업계가 더욱 성장하고 발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Daegu Dong-gu Office (District Mayor Yoon Seok-joon) held a report on the completion of the "Support for Brand and Packaging Design Development of Food Manufacturers" service on the 8th.

 

The project, which was first promoted this year, was promoted to actively respond to food consumption trends that value visual,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and be recognized for the product value of Dong-gu food manufacturers with potential and development potential.

 

In March this year, 10 companies were selected through recruitment announcements, and the final design was confirmed in October by developing customized designs that reflect the requirements of each company, not through pre-diagnosis.

 

Participating companies also responded well. A representative of one participating company said, "We developed a brand that clearly reveals the company's unique identity and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differentiated from other companies through the rapid feedback process on requirements."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ackaging design for food manufacturers this year, Dong-gu Office has promoted a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excellent products, operation of public relations centers, and special sales exhibitions. Next year, it plans various projects to develop food manufacturers, including live commerce broadcasting support.

 

Yoon Seok-joon, head of Dong-gu District Office, said, "Through this completion report, we want to boost the food industry by increasing brand competitiveness by allowing food manufacturers to pursue projects that can be recognized for their product value and upgraded furthe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강훈식 “대통령실 컴퓨터·필기도구도 없었고 무덤 같았다..한국 큰 고비 넘겼지만 위기 여전”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당시 대통령실은 무덤 같았고 지난해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큰 고비는 넘겼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위기와 도전 속에 있음을 밝혔다.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6일 국회에서 개최된 국회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해 “이재명 정부와 대통령비서실은 탄핵이라는 비극 속에서 치러진 선거로 인수위(대통령직인수위원회)도 없이 맨바닥에서부터 출범했다”며 “취임 당시 당장의 업무에 필요한 필기도구와 컴퓨터는 물론, 직원 한 명 없이 인수인계조차 불가능했던 대퉁령실은 실로 무덤 같았다”고 말했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전 정부로부터 물려받은 것은 오로지 민생, 경제, 사회, 외교, 안보 등 국가의 모든 영역에 걸쳐 겹겹이 쌓인 복합위기였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 발생한 내란과 불법계엄으로 민생경제는 무너졌고 경제는 마이너스 성장을 향해 있었으며 사회 전반에는 깊은 갈등의 골이 생겼다”고 밝혔다. 이어 “강경 일변도의 대북 정책과 대화 단절로 남북관계는 극단적으로 악화돼 한반도 평화가 위협받고 외교는 명분과 실리를 모두 잃어 국익이 위태로운 상황이었다”며 “지난해 벌어진 불법 계엄 사태로 인한 큰 고비는 넘


사회

더보기
서울시의회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 관련 대법 소송서 승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는 ‘서울특별시 문화재 보호 조례 일부개정 조례안’에 대해 문화체육부장관이 제기한 의결 무효확인 소송에서, 대법원이 6일 조례안 의결이 유효하다고 서울시의회에 승소판결을 했다고 밝혔다. 대법원 1부가 서울시의회의 ‘서울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이 문화재보호법 등을 위배하지 않았다고 판단함에 따라, 서울시의회가 지난해 5월 제정한 ‘서울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는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돼,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국가지정유산 100m이내)을 벗어난 곳에 대한 규제가 사라지게 됐다. 문화재보호조례는 24년 5월 폐지되고 ‘서울특별시 국가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조례’로 대체 입법된 바 있다. 서울시의회는 23년 9월 본회의에서 김규남 의원이 대표발의 한 문화재 보호조례 개정안을 가결했다. 서울시의회는 문화재 보호조례 제19조제5항이 상위법인 문화재보호법의 위임이 없는데도 역사문화환경보존지역 바깥에 대해서도 포괄적·추상적 규제를 가능하도록 한 것은, 문화재 보호와 시민의 삶이 공존·상생하는 도시 환경을 저해하는 과잉 규제라고 판단한 것이다. 서울시의회가 통과시킨 이 조례안을 서울시장이 23년 10월 공포하자, 문화체육관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