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남구, 2022 지방자치 경영혁신 엑스포 홍보부스 운영

URL복사

-남구의 우수 일자리 정책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 마련-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남구(구청장 서동욱)는 10일부터 12일일까지 3일간 부산 해운대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2 대한민국 지방자치 경영혁신 엑스포’에 전시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2022 대한민국 지방자치 경영혁신 엑스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혁신적인 행정 정책을 공유하기 위한 행사로 남구 일자리정책과에서는 취업⋅창업 지원의 우수사례 및 입주기업 제품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부스 전시 참여기업으로는 일자리종합센터 입주기업 중 정리수납 컨설팅 및 교육의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 ‘㈜공간생활 연구소(이윤정 대표)’, 유제품을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유제품 Self Making Kit을 개발한 ‘㈜씨엔자임(유승익 대표)’, 보드게임 보관함 및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럭키식스(윤관우 대표)’,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제품을 개발하는 ‘로바니코(김선종 대표)’등 총 4개사가 창업아이템의 전시, 홍보 등으로 참여한다.

 

또한 현재 취업 트렌드를 반영한 모의 VR면접을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남구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청년 정책 및 취ㆍ창업의 지원프로그램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이번에 참여한 한 입주기업 대표는 “스타트업 기업이 관공서와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찾아가는 것부터가 어려워 접촉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번 엑스포를 통해 여러 지자체와 중앙ㆍ지방 공공기관 등에게 자연스럽게 제품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공공분야 담당자에게 직접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뜻깊은 자리가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정성영 일자리정책과장은 “울산 남구의 우수 일자리정책을 전국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우수 일자리정책을 벤치마킹하여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am-gu, Ulsan (District Mayor Seo Dong-wook) announced that it will operate an exhibition booth at the 2022 Korea Local Autonomy Management Innovation Expo, which will be held at BEXCO in Haeundae, Busan for three days from the 10th to the 12th.

 

The "2022 Korea Local Autonomy Management Innovation Expo" is an event to share local governments' innovative administrative polici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the Nam-gu Job Policy Division will organize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such as best practices for employment and start-up support and product exhibitions.

 

Among the companies that participate in the booth exhibition, four exhibitors will promote "Space Life Research Institute" (CEO Lee Yoon-jung), "CNJIM Co., Ltd." (CEO Yoo Seung-ik), which develops dairy products, "Lucky Six (CEO Yoon Kwan-woo)," and "healthcare products for pets."

 

In addition, you can experience simulated VR interviews reflecting the current employment trend and see various youth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for employment and start-ups supported by Nam-gu at a glance.

 

A representative of a tenant company who participated this time said, "It was not easy for start-ups to contact government offices, and this expo was a chance to naturally inform various local governments, central and local public institutions, and it was a meaningful opportunity to inform public sector officials directly."

 

"It was a good opportunity to promote the excellent job policy in Nam-gu, Ulsan to the whole country," said Jung Sung-young, head of the job policy division. "We will do our best to create new jobs that meet the trend by benchmarking the excellent job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