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1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이 한국농어촌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기준 저수율이 부족한 전국 저수지는 45곳이다. 이 중 28곳은 전남으로, 맞춤형 급수 대책 마련과 농촌 용수 개발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가뭄 위기관리 단계상 45곳 중 24곳이 심각 단계, 21곳이 경계 단계다.
지역별로 보면 45곳 중 전남이 28곳(심각 14곳·경계 14곳, 전체의 62.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남 6곳, 전북·경북 각 4곳 순이었다.
정부는 가뭄재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가뭄 위기정보 수준 판단기준에 따라 저수지 평균저수율이 평년의 40% 이하면 심각 단계로 급수대책 총력체제에 돌입한다. 50% 이하면 경계 단계로 용수확보대책을 추진하고 간이양수장 등을 설치한다.
저수율 20% 이하 저수지는 전국 14곳이다.
전남 6곳(기동·동촌·옥실·봉암·화산·운천), 전북 3곳(난계·죽곡·개정), 충북 2곳(호암·금정), 경남 2곳(가월·지산), 경북 1곳(방화) 순이다.
올해 1월부터 9월 20일까지 전남 지역 강수량이 평년 대비 47%~65% 수준에 그쳐 저수율 저감이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 의원은 "지역별 맞춤형 급수 대책으로 저수율을 조속히 정상 단계로 회복하고, 농촌 용수 개발 등을 통해 농경지 가뭄 피해를 사전에 적극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