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2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 주최, 울산과학기술원 주관 ‘게놈․바이오 엑스포 2022’개막

URL복사

9월 22일 ~ 24일(3일간) 울산전시컨벤션센터
시민강좌, 국제 게놈 심포지엄, 전시회, 체험행사 등 진행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는 9월 22일(목)부터 24일(토)까지 3일간 울산전시컨벤션센터(UECO)에서 ‘게놈․바이오 엑스포 2022’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울산시 주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주관으로 진행된다.

 

‘게놈에서 노화까지 : 한국인 만명 게놈 사업을 넘어서’라는 주제로 한국인 만 명 게놈 사업 관련 연구와 기술개발 중심의 최신 게놈 연구 성과 공유, 유전체 연구의 상용화와 산업화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첫날인 22일 오후 3시 30분부터는 김두겸 울산시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김기환 시의회 의장, 이순걸 울주군수, 관련 기업인,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이 열린다.

 

개막식은 ▲ 개회사, 환영사 및 축사, ▲ 유공자 시장, ▲ 게놈․바이오산업의 미래 이상(비전) 발표, ▲ 개막 공연, ▲ 전시장 관람 순으로 진행된다.

 

일자별 다르게 진행되는 행사로는 1~2일차에는 노화와 질병을 주제로 전문가들을 위한 국제적 석학들의 ‘국제 게놈 학술토론회(심포지엄)’, 2일차에는 관련 기업들과 투자사 간 ‘투자 상담회’를 마련한다.

 

3일차에는 ‘과학과 과학이 주는 기회’에 대한 2006년 노벨상 수상자 앤드루 파이어(Andrew Fire) 교수와의 대담회, 최신 게놈 해독 기술과 진단 기술을 주제로 관련 기업들의 ‘게놈 산업 세미나’, 기업홍보, 채용절차 등을 소개하는 직업박람회(Job Fair)가 열린다.

 

이 밖에도 행사기간 동안, 게놈과 노화를 주제로 한 시민 대상 강좌, 디엔에이(DNA) 나선구조 모형 만들기, 과학 놀이들을 통한 직업체험 등 다양한 시민체험 행사와 40여개의 국내·외 관련 기업의 전시, 울산 만명 게놈 프로젝트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게놈리포트 이야기 마당(토크콘서트) 등 많은 부대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게놈․바이오 엑스포 2022는 관련 기업은 새로운 사업 기회와 최첨단 기술 동향과 국제 연결망(글로벌 네트워크)을 얻고, 시민과 학생들은 울산뿐만 아니라 한국의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인 게놈․바이오 산업을 체험하고 이해하는 유익한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Ulsan City announced that it will hold the Genome and Bio Expo 2022 at the Ulsa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 (UECO) for three days from September 22 (Thu) to 24 (Sat).

 

The event will be hosted by Ulsan City and organized by the Ul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Under the theme of "Genome to Aging: Beyond the 10,000-Korean Genome Business," the company will share the latest genome research results centered on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related to the 10,000-Korean genome business, and seek directions for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genetic research.

 

The opening ceremony will be held from 3:30 p.m. on the 22nd, attended by more than 100 people, including Ulsan Mayor Kim Doo-kyum, Ul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President Lee Yong-hoon, City Council Chairman Kim Ki-hwan, Ulju County Governor Lee Soon-gul, related businessmen and experts.

 

The opening ceremony will be held in the order of ▲ opening speech, welcoming speech and congratulatory speech, ▲ mayor of merit, ▲ announcement of future ideals (vision) of the genome and bio industry, ▲ opening performance, and ▲ exhibition hall.

 

On the 1st and 2nd days, international experts' "International Genome Academic Debate (symposium)" will be held on the theme of aging and disease, and on the 2nd day, related companies and investment consultations will be held.

 

On the third day, there will be a meeting with Professor Andrew Fire, the 2006 Nobel Prize winner on Science and Science Opportunities, a "Genome Industry Seminar" by related companies under the theme of the latest genome decoding and diagnostic technology, corporate promotion, and job fair.

 

During the event, there are many additional events such as lectures on genomes and aging, making DNA spiral structural models, exhibitions of 40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companies, and talk concerts for Ulsan 10,000 genome project participants.

 

An official from Ulsan City said, "We expect that related companies will gain new business opportunities, cutting-edge technology trends and international networks, and citizens and students will experience and understand not only Ulsan but also Korea's future new growth engine industry."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