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시교육청, 9월부터 외국 국적 유아학비 지원

URL복사

울산교육청, 학교 종합감사 9월 재개, 기간은 3 → 2일로 단축 < 교육뉴스 < 기사본문 - 에듀인뉴스(EduinNews)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이달부터 만 3~5세 외국 국적 유아에게 한국 국적 유아와 같은 수준의 유아 학비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울산교육청은 사업추진 취지를 외국 국적 울산 관내 유치원에 재원 중인 외국 국적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학비를 지원하여 외국인 가정의 육아 부담을 줄이고, 한국 국적 유아와 차별 없는 교육 기회를 제공에 있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나라가 '91년 비준한 UN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 따라 모든 아동은 인종이나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 등에 따른 어떤 종류의 차별로부터도 보호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준수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울산교육청은 그동안 유아 학비는 교육부 유아 학비 지원계획에 따라 만 3~5세 한국 국적 유아에게 지원되었으나, 외국 국적 유아의 지원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지난 6월‘울산광역시교육청 다문화교육 지원 조례’를 개정하였으며, 이번 제2회 추경에 예산을 확보하였다.

 

지원 대상은 울산 관내 공·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외국 국적의 유아로 현재 공립 56명, 사립 36명으로 총 92명이며, 지원금액은 국내 유아와 동일한 공립 월 15만원(교육과정 10만원, 방과후과정 5만원), 사립 월 35만원(교육과정 28만원, 방과후과정 7만원)이다.

 

지원금 신청은 외국인 등록이 된 유아를 사실상 보호하고 있는 자가 해당 유치원에 신청서 및 관련 증빙서를 제출하면 된다.

 

울산교육청 관계자는 “외국 국적 유아학비 지원으로 외국인 가정의 육아 부담을 줄이고, 외국 국적 유아에 대해 차별 없고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및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announced that starting this month, it will provide the same level of infant tuition to foreign infants aged 3 to 5 years old as Korean children.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explained that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reduce the burden of childcare for foreign families and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without discrimination from Korean children by providing infant care expenses to foreign children aged 3 to 5.

 

It is also said that it is to comply with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Children, which Korea ratified in 1991, that all children should be protected from any kind of discrimination based on race, gender, religion, and social status.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vised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Ordinance in June to provide the basis for supporting foreign infants, and secured the budget for the second supplementary budget.

 

A total of 92 foreign infants attendi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Ulsan are currently 56 public and 36 private, and the amount of support is 150,000 won per month (100,000 won for curriculum and 50,000 won for after-school courses) and 350,000 won per month for private children in Korea.

 

To apply for subsidies, a person who actually protects an infant registered as a foreigner can submit an application and related evidence to the kindergarten.

 

An official from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said, "We expect to reduce the burden of childcare for foreign families and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without discrimination for foreign infants. We will do our best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and realize universal educational welfare."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염증성 장질환 환자 30%가 ‘비만’, 10년 새 2배 이상 증가 국내 환자 1만여 명 13년간 추적 관찰… 아시아 최대 규모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 방식의 영향으로 비만율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 유병률이 일반인을 상회하는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 황성욱·김민규 교수팀이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 11,216명의 체질량지수(BMI)를 분석한 결과, 평균 비만율이 2008년 13.1%에서 2021년 29.8%로 2.3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 증가와 함께 혈당, 콜레스테롤 등 대사 증후군과 관련된 혈액학적 지표도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어 염증성 장질환과 대사 증후군을 동반한 환자를 위한 맞춤 관리가 필요할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염증성 장질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환자들의 비만 유병률 증가를 처음으로 입증한 데 의의가 크다. 위장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염증성 장질환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이 대표적이다. 완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각 환자의 특성과 증상에 맞게 적절한 치료법을 시행해야 하며 평생 치료와 관리를 지속해야 한다. 하지만 그동안의 연구는 대부분 전통적으로 비만율이 높은 백인 인종 중심으로 진행되어, 동양인 염증성 장질환 환자 중

문화

더보기
여름밤 무료 국악콘서트 ‘야광명월’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남산·돈화문국악당은 오는 8월 시민을 위한 여름밤 무료 국악콘서트 ‘야광명월’을 개최한다. 올해로 세 번째로 선보이는 ‘야광명월’은 서울돈화문국악당뿐만 아니라 서울남산국악당에서도 함께 개최되며, 도심 속 실내 문화공간에서 무더위를 식히는 시원한 힐링 무대로 관객들을 찾아간다. 8월 13~14일 진행되는 ‘남산 야광명월’은 젊은 국악 아티스트 네 팀의 감각적인 무대로 구성되며, 젊은 국악이라는 특성을 살려 창작의 공간이었던 ‘연습실’을 공연의 ‘무대’로 활용하는 독특한 콘셉트로 진행된다. 13일에는 담백하고 따뜻한 감각으로 국악의 결을 세심하게 빚어내는 가야금 3인조 ‘누룽지’, 전통 판소리에 기반한 폭발적인 고음과 호소력 짙은 목소리의 ‘이아진’이 출연한다. 14일에는 거문고, 가야금, 해금의 3인조 앙상블 ‘다못’, 일상 속 작은 순간들을 음악으로 풀어내는 2인조 인디국악팀 ‘신수동 3평’이 무대를 준비한다. 특히 화이트·실버·블루 등 달빛을 닮은 의상이나 액세서리를 착용 후 관람하면 소정의 선물을 증정하는 ‘드레스코드:달빛’ 이벤트가 마련될 예정이다. 8월 16~17일 진행되는 서울돈화문국악당 ‘야광명월: 별, 아리랑’은 국악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