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상장사 배당금 40조 넘길 듯…삼성家 1~4위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국내 상장사의 2021년 회계연도 기준 배당금 규모가 4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올해도 가장 많은 배당금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부회장을 포함해 1000억원 이상을 받는 사람은 삼성 일가와 정몽준 아사재단 이사장,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최태원 SK 회장 등 7명이다.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국내 상장사 중 지난 달 28일까지 배당(중간배당 포함)을 발표한 853개사의 2021년 회계연도 기준 배당금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2021년 회계연도 기준 배당금은 총 38조3232억원이다. 아직 배당결정을 공시하지 않은 기업들을 고려하면 최종 배당금 규모는 4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물산과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화재 등 5곳에서 3433억6700만원의 배당금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2~4위에도 홍라희 전 리움 관장(1760억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579억원),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1268억원) 등 삼성 일가가 이름을 올렸다.

이밖에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1166억원),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1094억원), 최태원 SK 회장(1041억원) 등 3명도 1000억원 이상의 배당금을 받았다.

기업별로는 기아가 2020년 4009억원에서 지난해 1조2028억원으로 200.0%(8019억원)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포스코(6653억원·107.3%), 현대자동차(5151억원·65.6%), KB금융(4559억원·66.1%), 우리금융지주(3944억원·151.7%)도 증가폭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배당금이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삼성전자다. 2020년 20조3381억원에서 지난해 9조8094억원으로 10조5286억원(51.8%) 줄었다. 다만 당시 특별배당 요인을 제외하면 2.0%0(1902억원)이 증가했다. 이어 메리츠증권(-1507억원·-67.7%), 메리츠금융지주(-921억원·-77.7%), 메리츠화재(-841억원·-55.7%), LG전자(-630억원·-29.1%), 서울도시가스(-583억원·–89.6%)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작년과 비교해 주당 배당금이 많이 증가한 기업은 효성티앤씨다. 2020년 5000원에서 2021년 5만원으로 10배 증가했다. 지난해 신규 배당을 실시한 효성첨담소재가 0원에서 1만원으로 증가해 2위였고, 포스코(9000원·112.5%), 광주신세계(5000원·142.9%), 한국쉘석유(5000원·35.7%) 순이었다.

시가배당률은 주당 2720원을 배당한 이크레더블이 13.5%로 가장 높았다. 효성티앤씨(9.3%·5만원)와 동양생명(9.0%·620원), 현대중공업지주(9.0%·5550원), LX인터내셔널(8.6%·2300원)도 8%가 넘는 시가배당율을 기록하며 상위권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지주사들이 포함된 기타금융 업종의 배당금이 2020년 4조6921억원에서 지난해 6조2546억원으로 33.3%(1조5625억원)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2위는 현대·기아차가 속한 운수장비 업종으로 자동차 업황 개선에 힘입어 같은 기간 배당금이 74.5%(1조2919억원) 증가했다. 화학(9675억원·41.8%)과 철강금속(8991억원·82.2%), 유통(5510억원·49%) 업종도 배당금 증가 상위 업종으로 집계됐다.

반면 배당금이 가장 많이 감소한 업종은 전기전자로 같은 기간 무려 45.8%(9조9501억원) 줄었다. 이 역시 2020년 삼성전자의 특별배당에 대한 기저효과 영향으로, 특별배당을 제외하면 7688억원(7.0%) 오히려 늘었다. 나머지 업종 중에는 전기가스업이 6248억원(68.2%) 줄어 감소폭이 가장 컸고, 증권(-3231억원·-29.6%), 건설(-1260억원·-28.2%), 음식료품(-872억원·-23.7%), 기타제조(-365억원·-5.7%) 순이었다.

한편 배당금을 지난해보다 늘린 기업은 총 568곳으로 비중이 66.6%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비중 46.2%(1226곳 중 567곳)보다 20.4%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반면 작년에 비해 배당금을 줄인 기업 비중은 15.7%(134곳)로 2020년(35.8%ㄱ 439곳)보다 20.1%포인트 줄어들었다. 배당금 규모가 전년과 같은 기업은 17.7%(151곳)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황명선 의원 “군부대 식용얼음 식중독 균도 검사 안 해”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군부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용얼음의 위생 검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의 당국들이 더불어민주당 황명선 의원(충남 논산시계룡시금산군,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실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국방위원회, 초선, 사진)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육군은 보유하고 있는 제빙기의 식용얼음에 대해 대장균군만 검사하고 있다. 해군과 해병대, 공군은 탁도와 대장균군만 검사하고 있다. 현행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르면 식품접객업소에서 사용하는 얼음은 세균수가 1 mL당 1000 이하, 대장균 및 살모넬라가 250 mL당 음성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에 대해 황명선 의원은 “군이 이처럼 축소 검사를 한 이유는 군이 식용얼음에 대한 별도 위생 기준을 마련하지 못하고 단순히 정수기 물의 검사 기준을 준용했기 때문이다”라며 “군이 자체 규정을 마련하지도 않고, 식약처의 법적 기준을 따르지도 않으면서 얼음 관련한 군의 위생을 방치해 온 것이다”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 결과 대표적인 식중독균인 살모넬라, 소독용 염소의 잔류량 지표인 염소이온, 유기물 오염정도를 파악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