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전국 중환자실 가동률 77%...오늘 방역대책 발표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로나19로 입원 중인 중환자 수가 하루평균 600명대를 넘었다. 전국 중환자실 가동률은 77%로 이틀째 4분의 3 이상이 찼으며 수도권에선 1000명 이상의 확진자들이 병상 배정을 기다리고 있다.

신규 확진자 수가 일요일 기준 처음 3000명대로 집계된 가운데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열고 4주가 지난 단계적 일상회복 방역 대책을 발표한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29일 0시 기준 코로나19로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629명으로 닷새째 600명대이며 1주간 하루 평균 610.6명으로 600명대로 확인됐다. 지난 23일 549명을 시작으로 586명→612명→617명→634명→647명 등 6일 동안 위중증 환자 수는 연일 최다 규모로 보고된 바 있다.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 고령층이 531명(84.4%)으로 가장 많다. 연령대별로 70대 223명, 60대 166명, 80세 이상 142명, 50대 57명, 40대 23명, 30대 13명, 10대 3명, 20대와 0~9세 각 1명 순이다.
 
의료기관 신규 입원 환자는 577명으로, 전날(746명)보다 169명 적다.

코로나19 관련 사망자는 32명 늘어 누적 3580명이다. 누적 치명률은 0.81%다. 전날 숨진 이들 중 80세 이상 15명, 70대 11명, 60대 4명 등 60세 이상이 30명(93.8%)이다. 나머지 2명은 50대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전날 오후 5시 기준 전국 중증환자 전담 병상 1154개 중 888개가 사용 중으로 가동률은 전날(75.0%)보다 1.9%포인트 늘어난 76.9%다. 전국에 266개(23.1%)가 남았다.

유행이 집중된 수도권의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은 86.6%로 전날(85.4%)보다 1.2%포인트 늘었다. 시·도별 가동률은 서울 87.8%, 경기 85.5%, 인천 84.8%다. 서울 42개, 경기 42개, 인천 12개 등 수도권에 96개만 남았다. 비수도권 14개 시·도 중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은 61.4%다.

이날 0시 기준 확진 후 하루 이상 병상 대기자는 수도권에서만 1149명이다.

병상 배정 과정에서 ▲1일 이상~2일 미만 479명 ▲2일 이상~3일 미만 330명 ▲3일 이상~4일 미만 141명 ▲4일 이상 202명 등이 병상 배정을 받지 못한 상태다. 70세 이상은 478명(41.6%), 고혈압·당뇨와 같은 질환이 있거나 기타 사항으로 분류된 환자는 671명이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총 8990명이다. 서울 4788명, 경기 3097명, 인천 453명, 충남 107명, 부산 102명, 강원 100명, 대구 94명, 제주 55명, 경남 49명, 광주 43명, 경북 35명, 충북 24명, 대전 16명, 전북 14명, 전남 11명, 세종 2명 등이다.
 

누적 확진자는 전날보다 3309명 증가한 44만4200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3925명보다 616명 줄었지만, 지난주 일요일(11월23일 0시 기준) 2827명과 비교하면 482명 많다. 일요일 기준으로는 하루 최다 발생이다.

최근 일주일간 신규 확진자 수는 2698명→4115명→3938명→3899명→4067명→3925명→3309명이다. 4000명 안팎을 오가던 확진자 수는 주말 검사량 감소 영향으로 3300명대로 줄었다. 이틀간 의심환자 검사 건수는 각각 13만7753건, 11만7365건이다.

60세 이상 고령층 확진자는 전체의 37.3%인 1234명이다. 연령대별로 60대 664명, 70대 366명, 80세 이상 204명이다. 10대 이하 확진자는 7643명(19.4%)으로, 0~9세 335명, 10~19세 308명이다. 그 외 50대 417명, 40대 359명, 30대 370명, 20대 286명 등이 발생했다. 

국내 발생 확진자는 3286명이다. 지역별로 서울 1386명, 경기 905명, 인천 233명 등 수도권에서 2524명(76.8%)이 발생했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762명(23.2%)이다. 부산 144명, 대구 87명, 경남 85명, 경북 67명, 광주 61명, 강원 55명, 충남 50명, 제주 43명, 전북 49명, 대전 43명, 충북 33명, 전남 28명, 세종 15명, 울산 2명 등이다.

일주일간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는 3683.9명으로 직전 주 2949.6명보다 734.3명 늘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2356.3명에서 2887.4명, 비수도권은 593.3명에서 796.4명으로 각각 531.1명, 203.1명 늘었다.

해외 유입 확진자는 23명으로, 일주일간 하루 평균 23.4명꼴로 발생했다. 공항과 항만 검역에서 3명, 유전자 증폭(PCR) 음성 확인서를 소지한 무증상자 20명이 지역사회에서 격리 중 확진됐다. 내국인은 12명, 외국인은 11명이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1차 접종자는 965명 늘어 누적 4251만1121명이다. 전체 인구의 82.8%, 만 18세 이상 성인 인구 93.4%가 1회 이상 접종을 받았다.

접종 완료자는 1777명 늘어 누적 4090만2753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79.7%, 만 18세 이상 91.3%가 백신별 기본접종을 모두 마쳤다.

추가접종(부스터샷)은 2561명 늘어 누적 284만5397명, 전체 인구 대비 5.5%다.

정부는 이날 오후 2시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코로나19 특별방역점검회의를 열고, 오후 5시에 정부서울청사에서 추가 방역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하루 신규 확진자 4000명대, 위중증 환자 600명대, 병상 배정 대기자 1000명 이상이 발생하는 등 방역 지표가 악화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확대를 비롯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우려 변이(VOC)로 지정한 '오미크론' 변이 대응 방안 등을 주로 논의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정치

더보기
【커버스토리】 [한미 정상회담] 이 대통령 “두터운 신뢰…굳건한 한미동맹 확인"
[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미국 워싱턴DC에서 첫 정상회담을 열었다. 회담 전 미국의 거센 압박 속에서도 돌발변수 없이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마감돼 양 정상 간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15% 관세를 재확인해 정책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이다. 이 대통령 ‘피스메이커, 페이스메이커’ 회담 분위기 이끌어 이재명 대통령 취임 82일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치열한 기싸움으로 시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숙청이나 혁명처럼 보인다”고 적어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북한 문제를 상당 부분 언급하며,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다.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치켜세웠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지역네트워크】 공감에서 시작해 신뢰로 이어지다...하남시가 만든 따뜻한 민원행정
[시사뉴스 하남=박진규 기자] 이현재 하남시장은 행정을 바라보는 시선부터 달랐다. 민원을 단순한 요청이 아닌, 시민의 삶에 먼저 다가가야 할 ‘공감의 신호’로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행정의 속도만큼이나, 어떻게 응답하느냐의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하남시는 민원행정의 개념을 완전히 뒤바꿨다. 단순히 민원을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고, 불편을 헤아리며, 현장에서 바로 답을 찾는 시스템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말투 하나, 설명 한마디에도 공감을 담고, 이동이 불편한 시민을 위해 ‘현장’을 행정의 출발점으로 삼은 행정. 시청에 가지 않아도, 여러 부서를 전전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든 민원에 귀 기울일 수 있는 구조. 하남시는 그렇게 행정의 중심을 ‘사람’으로 옮겼다. ‘문제를 피하지 않는 책임 행정’, ‘모든 과정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행정’, 그리고 ‘시민의 언어로 설명하는 행정’. 하남시가 실현하는 민원행정은 제도가 아니라 철학의 실천이다. 민원은 소통이다…공연으로 배우는 ‘설명력도 친절역량’ 단 한 마디의 설명이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고, 누군가에게는 벽이된다. 하남시는 이러한 ‘언어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거리감을 줄이기 위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