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50대 그룹 총수 3분기 주식평가액 조사...이재용, 재산 1위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올해 2분기 대비 9월말(3분기) 기준 최근 3개월 간 국내 50大 그룹 총수의 주식평가액이 8조원 가까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총수 중에서는 KCC 정몽진 회장의 주식재산이 1000억원 넘게 불어날 때 카카오 김범수 이사회 의장은 2조6000억원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주식부자 1위는 14조원대를 기록한 삼성 이재용 부회장이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가 ‘2021년 3분기 국내 50대 그룹 총수 주식재산 변동 분석’ 결과에서 도출됐다고 5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기업 집단 중 자연인(개인)을 동일인으로 지정한 50개 그룹 총수 50명이다. 주식평가액 산정 기준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에 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평가액 산출은 보통주(우선주 제외) 주식 수에 올 6월30일과 9월 30일 기준 종가를 각각 곱한 값으로 계산했다.

국내 50대 그룹 총수 중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숫자는 38명이다. 이들 38명 그룹 총수의 올 6월 말 주식평가액은 총 60조8057억원이었으나 9월 말에는 53조1229억원으로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새 7조 6000억 원(12.6%↓) 넘게 주식가치가 하락했다. 올 연초와 2분기(3월말 기준) 기준 50대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 합산 금액은 각각 45조2800억원, 48조5371억원이었다.

주식평가액 상승률만 놓고 보면 OCI 이우현 부회장이 1위를 차지했다. 이우현 부회장은 올 2분기(6월 말)에 1412억원이던 주식가치가 3분기(9월 말)에는 1935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500억원 넘게 증가했다. 주식재산이 37% 수준으로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세아 이순형 회장 역시 1043억원에서 1408억원으로 상승했다. 35% 수준으로 2분기 대비 3분기에 지분가치가 뛰었다. 이 회장은 4개 종목에서 주식을 보유 중인데, 이 중 세아제강지주의 주식가치가 크게 오르며 전체 주식평가액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외 KCC 정몽진 회장 21.1%(6월 말 5976억원→9월 말 7237억원), 영풍 장형진 회장 15.4%(3302억원→3810억원), 코오롱 이웅열 명예회장 15.1%(2972억원→3420억원) 순으로 50대 그룹 총수 중 2분기 주식재산 증가율 상위 다섯 손가락 안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달리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은 6월 말 4조6441억원 정도이던 주식가치가 9월 말에는 3조2932억원으로 29.1%(1조3509억원↓)나 크게 하락했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9조6373억원에서 6조9766억원으로 27.6%(2조6606억원↓) 정도로 주식평가액이 증발했다. 

이 밖에 현대차 정의선 회장 17.8%↓(4조2161억원→3조4661억원), 동국제강 장제주 회장 17.3%↓(2952억원→2440억원),  한국타이어 조양래 회장 16.3%↓(3638억원→3046억원) 순으로 3분기 주식평가액 하락률 5명 총수 그룹군에 속했다.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 금액으로 살펴보면 KCC 정몽진 회장이 1200억원 이상 불어나 가장 크게 웃은 반면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2조6000억원 넘게 뚝 떨어졌다.

범위를 올해 1월 초 대비 9월 말 기준으로 넓혀 살펴보면 KCC 정몽진 회장의 주식재산은 최근 9개월 새 120%(3956억원↑) 이상 상승했다. 이 외에 동국제강 장세주 회장 111.4%(1286억원↑), 세아 이순형 회장 101.2%(708억원↑) 순으로 최근 9개월 새 주식재산이 100% 넘게 불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9월 말 기준 50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 가입한 인원은 1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분기 때 13명이었던 것보다 1명 줄어든 숫자다. 3분기에 국내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위는 삼성 이재용 부회장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부회장의 9월 30일 기준 주식평가액은 14조1653억원 수준이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은 6조9767억원으로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넘버2를 차지했다. 3~5위에는 각각 SK 최태원 회장(3조4785억원), 현대자동차 정의선 회장(3조4661억원),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3조2933억원)이 TOP 5에 포함됐다. 이중 SK 최태원 회장은 2분기에는 주식평가액 상위 5위였는데, 3분기에는 톱 3까지 진입했다.

2분기 때 1조원 넘게 주식평가액을 보였던 한국투자금융 김남구 회장은 9월 말에는 9954억원으로 1조 클럽에서 탈락했다. 

조사 기준을 그룹 총수가 보유한 비상장사 주식 현황으로까지 범위를 넓히더라도 올해 3분기 국내 주식부자 1위는 삼성 이재용 부회장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가까운 시일에 주식부자 1위 자리가 뒤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주식부자 1위를 넘보는 1순위 후보는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이다. 서 명예회장은 자신이 직접 보유한 상장사 지분가치는 9월 말 기준 2조원에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비상장사가 보유한 지분까지 포함해 계산할 경우 9월 30일 기준 서정진 명예회장의 주식가치는 13조5546억원으로 크게 늘어난다. 이는 같은 기간 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6100억원 정도 차이나는 금액이다.

이 부회장의 주식가치를 100이라고 놓고 보면 서 명예회장은 95.7 수준인 셈이다. 그러던 것이 이달 1일에는 6000억원 넘게 차이나던 격차가 533억원으로 좁혀졌다. 삼성 이재용 부회장과 셀트리온 서정진 명예회장의 주식평가액 차이가 100대 99.6 비율로 거의 대등해졌다.

서 명예회장의 경우 셀트리온헬스케어 상장사 종목의 주식을 직접 보유 중이다. 여기에 비상장사인 셀트리온헬스케어홀딩스 지분을 100% 소유하며 셀트리온헬스케어 종목 주식도 함께 쥐고 있다. 또 비상장사 셀트리온스킨큐어 지분(70.23%)도 보유 중인데, 이를 통해 셀트리온과 셀트리온헬스케어 주식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 김범수 의장도 비상장사 주식을 포함해 계산하면 올해 2분기(6월 말) 때만 해도 17조3000억원을 넘기며 국내 주식부자 서열 1위에 올라선 바 있다. 하지만 9월 말 기준 김 의장의 주식평가액은 12조5700억원 수준으로 계산됐다. 최근 3개월 새 5조원 가까이 주식재산이 줄면서 국내 주식부자 서열 1위에서 3위로 밀려났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2분기 대비 3분기에 50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이 증가한 숫자보다 감소한 경우가 3배 더 많은데다 주식재산 1조 클럽에 있는 총수 모두가 이전 분기 때보다 주식평가액이 감소하며 주식시장을 견인해야 할 대장주 주식종목들도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 4분기에는 IT 관련 주식종목들이 어느 정도로 상승세를 보이느냐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 분위기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통상전문가 "한미 관세 타결, 실익 내주고 안정 택해…자동차 수출 숨통 트일 것"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것과 관련해 어려운 환경 속에서 최선의 결과를 얻어냈다고 통상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를 냈다. 다만 앞으로 직접투자 비율이나 상업적 합리성 측면의 투자처 선정방식 등 남아있는 과제도 있는 만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등 우리 실무진들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최대한 국익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인해 우리 자동차 수출은 숨통을 트일 수 있다는 의견이 다수 나왔다. 25%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하면서 경쟁국과 동일 출발선에 놓인 만큼 수출 경쟁력 회복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당초 최혜국 대우를 보장 받았던 반도체의 경우 대만과 동일한 수준으로 합의가 변경됐지만 우리나라 기술 경쟁력을 고려할 때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평가다. 합의에서 제외된 철강의 경우 어려움이 지속될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대해 총평을 하자면 안정성을 위해 실익을 내줬다고 볼 수 있다"며 "투자로 얻을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지만 자동차 수출 등에서 실익을 확보했다"고 평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전병주 시의원, 지방자치단체 탄소중립정책 활성화 토론회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28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2025 지방자치단체 탄소중립정책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병주 의원과 (사)한국기후환경원이 공동 주관했으며, 지방자치단체 탄소중립 정책의 실질적 성과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전 의원은 개회사에서 “지자체는 시민의 삶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기후위기를 직접 마주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지역의 행동으로 이어지려면 행정·기업·시민이 함께하는 실천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의 토론회가 그 연결고리를 만드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논의된 제안들을 구체적인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발제와 좌장을 맡은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분의 2가 도시에서 발생한다”며 “지자체 주도의 탄소중립 이행과 지자체에 대한 지원 확대를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상향식 탄소중립 실현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인 이명주 명지대 교수는 서울시 건축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제시하며 “공공·민간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은 여전히 분절적으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