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국제

일본 코로나 신규확진 4943명, 올림픽 이틀 앞두고...4000명대 급증

URL복사

 

도쿄 1832명·가나가와 522명·오사카 491명 등 
일일 사망 오사카 4명·도쿄도 4명·아이치  3명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일본에서는 4943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도쿄올림픽 개막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일본에서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5월27일 이래 1개월3주여 만에 4천명 이상 발병했고 사망자도 20명이나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21일 오후 9시45분까지 4943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

도쿄도에서 지난 1월 이후 6개월여만에 최대인 1832명, 가나가와현 522명, 오사카부 491명, 사이타마현 381명, 지바현 302명, 지바현 199명, 오키나와현 169명, 후쿠오카현 136명, 효고현 120명, 홋카이도 118명, 아이치현 109명, 교토부 80명, 이바라키현 77명, 시즈오카현 57명, 도치기현 42명, 나라현 38명, 군마현 35명, 미야기현 28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85만3000명을 넘었다.

일본 국내 감염자 중 오사카부와 도쿄도, 오키나와현 각 4명, 아이치현 3명, 가나가와현 2명, 구마모토현과 이시카와현, 시즈오카현 1명씩 합쳐서 20명이 목숨을 잃어 총 사망자가 1만5102명으로 늘어났다.

크루즈선 승선 사망자 13명을 더하면 1만5115명이 지금까지 숨졌다.

일본 내 코로나19 환자는 전세기편으로 중국에서 귀국한 다음 감염이 확인된 14명과 공항 검역 과정에서 확진자로 드러난 사람을 포함해 85만2528명이다.

여기에 집단발병으로 요코하마(橫浜)항에 격리 정박했던 대형 유람선(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에 탔던 승객과 승조원 환자 712명을 합치면 총 확진자는 85만3240명이다.

일본에서 코로나19에 감염한 일본인과 중국인 여행객, 귀국 환자 등 85만2528명의 분포를 보면 도쿄도가 19만3062명으로 전체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오사카부가 10만7774명, 가나가와현 7만4479명, 아이치현 5만2428명, 사이타마현 5만573명, 지바현 4만4294명, 홋카이도 4만2678명, 효고현 4만2106명, 후쿠오카현 3만6658명, 오키나와현 2만2170명, 교토부 1만7217명, 히로시마현 1만1739명, 이바라키현 1만1278명, 시즈오카현 9950명, 미야기현 9608명, 기후현 9402명, 나라현 8541명, 군마현 8200명, 오카야마현 7749명, 도치기현 7482명, 구마모토현 6549명, 시가현 5722명, 미에현 5512명이다.

다음으로 후쿠시마현 5229명, 나가노현 5106명, 이시카와현 4326명, 가고시마현 3789명, 니가타현 3645명, 오이타현 3543명, 나가사키현 3299명, 야마구치현 3200명, 미야자키현 3132명, 에히메현 2808명, 와카야마현 2759명, 사가현 2621명, 아오모리현 2602명, 야마나시현 2204명, 가가와현 2143명이다.

이어 도야마현 2111명, 야마가타현 2087명, 고치현 1973명, 이와테현 1874명, 도쿠시마현 1716명, 후쿠이현 1426명, 아키타현 984명, 시마네현 625명, 돗토리현 615명이다.

공항 검역에서 감염이 확인된 3367명, 중국에서 전세기로 귀국한 사람과 정부직원, 검역관 등 173명이 있다.

감염자 가운데 인공호흡기를 달거나 집중치료실에 있는 중증환자는 21일 시점에 일본 내에만 전날보다 16명 줄어 390명이 됐다.

병세가 좋아져 퇴원한 환자는 21일까지 일본 안에서 걸린 확진자 중 80만3681명,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승선자가 659명으로 총 80만4340명이다.

PCR(유전자 증폭) 검사 시행 건수는 19일에 속보치로 하루 동안 5만7974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미 비자 워킹그룹 공식 출범 첫 회의…"B-1(단기상용) 비자 가능한 활동 명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미 비자워킹그룹 출범 첫 회의에서 한국 기업들의 안정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선 원활한 인적 교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한미 양국 정부대표단은 3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을 공식적으로 출범시키고 1차 협의를 진행했다고 1일 외교부가 밝혔다. 한국 측에선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담당 정부대표를 수석대표로,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참여했다. 미국 측에선 케빈 킴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관리룰 수석대표로 국토안보부, 상무부, 노동부가 참여했다. 한미 양국은 미국의 경제·제조업 부흥에 기여하는 한국 기업들의 안정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선 원활한 인적 교류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치가 필수적이라는 데 대해 인식을 공유했다. 회의에 참석한 크리스토퍼 랜다우 국무부 부장관은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이행을 위한 인력들의 입국을 환영하며, 향후 한국 대미 투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주한미국대사관 내 전담 데스크 설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양국은 한국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B-1(단기상용) 비자로 가능한 활


사회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천시의 역사, 문화 등을 담은 「디지털사천문화대전」 서비스 공식 오픈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과 사천시(시장 박동식)는 「디지털사천문화대전」의 시범 운영을 마치고 오는 10월 1일 홈페이지를 공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번 편찬 사업은 2023년 3월 시작해 2년여 만에 결실을 맺은 것으로, 사천시는 전국에서 119번째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편찬을 완료한 지역이 됐다. 「디지털사천문화대전」은 △지리 △역사 △문화유산 △성씨⸱인물 △정치⸱경제⸱사회 △종교 △문화⸱교육 △생활⸱민속 △구비전승⸱언어⸱문학 등 9개 분야로 구성됐다. 총 1,300여 항목, 2,150건의 사진, 10편의 영상 등이 수록돼 사천의 과거와 현재를 입체적으로 담아냈다.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번 대전에는 기획 항목 ‘사천, 우주항공의 전초기지가 되다’를 마련해 사천시의 현재 위상을 조명했다. 사천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등 80여 개 우주항공 관련 기업이 집적한 곳으로, 생산·연구개발·정비 시설이 고루 갖춰져 있다. 이로써 사천시는 국내 항공기 제조 산업의 생산액 80%, 종사자 수 70%, 사업체 수 67%를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항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일 안 해도 돈 준다’…청년 실업 대책, 계속되는 엇박자
‘청년 백수 120만’ 시대를 맞아 정부가 청년 고용 확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올해부터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를 강력 추진하기로 했다. ‘청년백수’는 대한민국에서 15~29세 청년층 중 공식적인 통계에 잡히는 실업자는 아니지만, 실직 상태이거나 취업을 준비 중이거나, 또는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쉬었음’ 인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지난 2월 통계청 발표에서 전년보다 7만여 명 이상 늘어난 120만7천 명에 달했다. 이중 실업자는 약 27만 명, 취업준비자 약 43만 명, ‘그냥 쉬었음’이 약 50만 명으로 그냥 쉰다는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어났다. ‘쉬었음’ 인구는 취업자나 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하는 공식적인 용어로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거나, 있더라도 구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첫걸음 보장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의 청년(쉬었음 청년, 구직 청년, 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데 자칫 일 안 해도 정부가 수당도 주고, 각종 지원도 해준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크다. 청년 세대의 어려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