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기업일반

화웨이, 전자 폐기물 순환 등 친환경 가치 창출 노력

URL복사

[시사뉴스 김도훈 기자] 지난 7월 국제연합(UN)이 발표한 '2020 글로벌 전자 폐기물 모니터(Global E-waste Monitor 2020)'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전자 폐기물의 양이 약 21% 증가했으며 앞으로 폐기물은 더 늘어나, 지난 2019년 기준 5350만 톤이던 폐기물이 2030년이 되면 7470만 톤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가전제품을 오래 쓰거나, 전자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글로벌 IT 선도 기업 화웨이는 지속 가능성을 우선순위에 두고 제조·수송·사용·폐기에 이르는 제품 수명의 전 과정에서 불필요한 자원은 줄이고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여, ‘순환경제’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자제품 재활용·재사용 프로그램 운영과 수리 서비스 확대를 통해 잦은 제품 교체로 인한 자원의 소비를 막고, 친환경 패키징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전자 폐기물 재활용하는 ‘이-웨이스트(E-Waste) 리사이클링’ 프로그램


화웨이는 스마트폰, 노트북, 스마트워치 및 밴드 등 각종 전자 기기로부터 플라스틱, 코발트, 알루미늄 등 원자재를 분리 추출하여 새로운 전자제품 제조에 활용하는 ‘이-웨이스트(E-waste) 리사이클링’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가치 창출 확대를 위해 화웨이가 아닌 타브랜드의 전자기기도 접수 받는다. 

 

전자 기기 분해 작업은 전문적인 재활용 협력사 그룹을 통해 안전하게 이뤄진다. 화웨이는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과 ‘ISO 14001’(환경경영시스템) 국제 인증을 획득했으며, 해당 작업 과정에서 모든 관련 법과 규정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개인 정보 보호 및 데이터 처리 방식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국, 미국, 말레이시아, 인도 등을 포함한 총 48개 국가 및 지역에 위치한 약 2,000개의 이-웨이스트 리사이클링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난 한 해 동안 4,500톤 규모 이상의 전자기기 폐기물을 처리 및 재활용했다.

 

그린 패키징 전략 ‘6R1D’ 통한 지속가능성 증대

 

 

 

화웨이는 친환경 패키징을 위한 ‘6R1D’ 전략을 도입하고, 포장재의 간소화 및 친환경 소재 활용 등 자원 순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웨이의 ‘6R1D’는 ▲Right (적합성) ▲Reduce (절약) ▲Returnable (회수) ▲Reuse (재사용) ▲Recovery (회복력) ▲Recycle (재활용) ▲Degradable (분해가능성)의 머리글자를 따서 지은 그린 패키징 전략이다.

 

포장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되, 필요한 경우 분해, 재생 및 재활용이 용이한 친환경 소재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지난 한 해 동안 전 세계 60개 이상의 국가 및 지역에서 1,000만 대의 스마트폰 당 180만 개의 플라스틱 비닐 쇼핑백 사용을 줄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절감에 기여했다.  

 

A/S서비스 확대를 통한 전자 폐기물 감축 노력


이와 함께, 화웨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성능, 품질, 내구성 등을 강화하는 동시에, 신속하고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해 장기간 제품을 사용하여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한국에서도 전국적으로 총 43개의 위탁 A/S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프리미엄 수리 서비스도 제공된다. 보증기간 이내에 제품 수리를 원하는 소비자는 서비스센터에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Post Box가 설치된 전국 1만여 곳의 GS25 편의점에서 무료 배송 수리 접수가 가능하다. 서울 지역의 경우 방문을 통한 수리 서비스를 함께 지원한다.

 

한국 화웨이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는 “전자기기의 제조부터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의 자원 효율화 및 지속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순환 경제 구축에 기여하겠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스포트라이트 받는 주인공 뒤에 숨은 조력자를 기억하자
지난 14일 서울 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파라과이의 축구 평가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단연 오현규였다. 그는 후반 30분 승리에 쐐기를 박는 결정적인 골을 넣으며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 그러나 그 골의 배후에는 수비수 두 명을 제치는 현란한 드리블 후 냉정히 경기의 흐름을 읽고 찬스를 만들어낸 또 다른 주인공이 있었다. 바로 이강인이다. 그는 전방으로 빠르게 침투한 오현규에게 정확한 타이밍의 패스를 연결해 골의 90%를 만들어 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후 조명은 오직 골을 넣은 선수에게만 쏟아졌고, 이강인의 이름은 짤막이 언급되었다. 지난 21일 한국프로야구 2025 플레이오프 한화 대 삼성의 3차전에서 한화가 5대4로 역전승을 거둔 뒤, 단연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은 선수는 구원투수로 나와 4이닝 무실점으로 역투한 문동주였다. 그런데 사실 한화가 역전승을 할 수 있었던 것은 상대적으로 어린 문동주를 노련한 투수 리드로 이끌어간 최재훈 포수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기가 끝난 후 역투한 문동주와 역전 투런 홈런을 친 노시환만 승리의 주역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고 최재훈의 이름은 언급조차 없다. 이러한 장면은